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몽골어의 한글 표기에 관한 제언

이용수 20

영문명
Proposal on Korean transcription of Mongolian: Focusing on names and place names that appear in loanword usage
발행기관
한국몽골학회
저자명
도성경
간행물 정보
『몽골학』제73호, 95~11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몽골어의 인명과 지명에 관한 한글 표기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 기존 연구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통일된 한글 표기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국 어문 규범의 하나인 ‘외래어 표기법’에는 각 언어별 표기 세칙을 두고 있으나 몽골어에 대한 세칙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에 인명과 지명에 대한 외래어 표기 용례에 나타난 몽골어를 분석하여 한글 표기 기준을 살펴보았다. 외래어 표기 용례에 나타난 몽골어 분석을 통해 몽골어 자음 18개와 모음 11개에 대하여 한글 표기의 예를 찾을 수 있었다.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한글 표기안과 비교했을 때 몽골어 자음이 자음 앞이나 어말에 쓰일 경우는 한글 표기의 차이가 다소 나타났으나 몽골어 자음이 모음 앞에 표기될 때는 선행 연구의 결과와 차이가 없었다. 몽골어 모음 또한 선행 연구 결과와 대체로 일치하였으나, ‘о, ө, у’는 한글 표기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관용 표기의 원칙에 따라 표기된 용례들도 살펴볼 수 있었는데 ‘몽케칸, 귀위크칸, 칭기즈칸, 울란바토르’ 등이 그 예이다. 따라서 앞으로는 더 많은 용례의 수집과 더불어 관용 표기의 적용 범위와 언중의 인식에 관한 연구 등을 더하여 몽골어의 한글 표기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논의들을 바탕으로 몽골어의 한글 표기에 대한 통일된 세칙이 마련되기를 기대해 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e of Korean transcriptions in Mongolian for names and place names in loanword usage and to propose a unified Korean transcription method for them. The Korean Loanword Orthography, which has written rules for each language, does not have rules for Mongolian, resulting in confusion about the naming of people and place names, as well as major historical and cultural examples between the two countries. To address this, we analyzed the Mongolian language that appeared in the usage of foreign words for names and place names and compared them with Korean writing standard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are examples of Korean transcription for 18 Mongolian consonants and 11 vowels. While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Korean transcription when Mongolian consonants were used before or at the end of a consonant, there was no difference from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y when Mongolian consonants were written before vowels. Mongolian vowels were also broadly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but ‘о, ө, у’ differed in Korean transcription. In addition, we looked at usages based on the principle of idiomatic notation, such as “몽케칸(Мөнх хаан), 귀위크칸(Гүег хаан), 칭기즈칸(Чингис хаан), 울란바토르(Улаанбаатар).” Therefore, in the future, further discussion on the Korean transcription of Mongolian is needed, along with the collection of more usages and research on the scope of application of idiomatic orthography and the recognition of speech. Based on these discussions, we hope to establish a uniform bylaw for the Korean writing of Mongolian names and place names in loanword usag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고찰
3. 연구 방법
4. 몽골어의 한글 표기 사용 양상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도성경. (2023).몽골어의 한글 표기에 관한 제언. 몽골학, (), 95-117

MLA

도성경. "몽골어의 한글 표기에 관한 제언." 몽골학, (2023): 95-1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