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산 절영도 지명 변천 연구

이용수 13

영문명
A study on the historical changes of Jeolyeongdo placename in Busan
발행기관
동남어문학회
저자명
이근열
간행물 정보
『동남어문논집』제55집, 5~3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5.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고지도, 문헌 등을 고찰하여 ‘절영도(Jeoryeong- do)’에서 ‘영도(Yeong-do)’로의 변화 시기를 고증하는 것이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도 지명이 문헌에 처음 등장한 것은 1894년에 만든 󰡔영남읍지󰡕 안 「동래부지도」의 ‘영도진(影島鎭)’이다. 또, 섬 이름으로서의 영도는 1901년에 작성된 「초량객주회의소규칙」에서 처음 나타난다. 이로써 ‘영도’라는 지명은 일제가 만든 지명이 아니라 부산 사람들이 19세기 말엽부터 20세기 초엽에 쓰던 지명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1959년 지명제정위원회에서 ‘영도’를 공식적인 지명으로 정하고 이후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둘째, ‘절영도’의 이표기로는 1471년 「동래부산포지도」의 ‘절영도(折英島)’, 17세기 후반 「해동팔도봉화산악지도󰡕의 ‘절마도(絶馬島)’, 1883년~1885년에 만든 󰡔경와집략󰡕의 ‘절도(絶島)’가 있다. 셋째, 일본에서는 1213년 󰡔대일본사󰡕에서 ‘절영도’가 처음 언급된 이후 공식적으로 ‘절영도’로 표기되었지만, 17세기 후반 「초량지회도」에서 ‘목도(牧島)’가 나타난 이후로 ‘마키노시마(マキノ島, 牧島)’로 부른 것으로 확인된다. 그러나 《조선총독부관보》 1920년, 1923년, 1925년, 1933년, 1939년, 1941년, 1943년, 1945년에 나타난 ‘영도’ 지명은 공식 지명이 아닌 특정 종교의 포교소 이름이다. 넷째, 1934년에 완공한 ‘부산대교’는 1937년 󰡔교남지󰡕에서 ‘목지도교(牧之島橋)’로 표기하는 것으로 보아 공식적으로는 ‘영도대교’가 아닌 ‘목지도교’로 불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timing of the change from ‘Jeoryeong-do’ to ‘Yeong-d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irst time Yeong-do's placename appeared in literature was in Yeongdo-jin's Dongnaebujido in Yeongnam-eupji, made in 1894. Also, ‘Yeong-do’ as the name of the island first appears in the 󰡔Choryanggaekjuhoeuisogyuchik󰡕 written in 1901. This confirms that the place name ‘Yeong-do’ is not a placename created by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ut a placename used by the people of Busan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Later, in 1959, the Placename Establishment Committee established ‘Yeongdo’ as the official placename, and it has remained to this day. Second, other spellings of jeoryeong-do include ‘Jeolyeongdo(折英島)’ from 「Dongnaebusanpojido」 in 1471, ‘Jeolmado(絶馬島)’ from 「Haedongpaldobonghwasanakjido」 from the late 17th century, and ‘Jeoldo’ from 󰡔Gyeongwajimnyak󰡕 written in 1883~1885. Third, in Japan, it was officially spelled ‘Jeoryeongdo’ after the first mention of ‘Jeoryeongdo’ in the 󰡔Daeilbonsa󰡕 in 1213, but it is confirmed that it was called ‘Makinosima(牧の島)’ after ‘Mokdo(牧島)’ appeared in the 「Choryangjihoedo」 in the late 17th century. However, the 'yeongdo' placename that appeared in 《Joseonchongdokbugwanbo》 in 1920, 1923, 1925, 1933, 1939, 1941, 1943, and 1945 is not an official placename, but a branch name of a particular religion. Fourth, the ‘Busandaegyo’, which was completed in 1934, is spelled ‘Mokjidogyo’ in 󰡔Gyonamji󰡕 in 1937, confirming that it was officially called ‘Mokjidogyo’ instead of ‘YeongdoDaegyo’.

목차

1. 머리말
2. 절영도 지명 변천 자료 분석
3.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근열. (2023).부산 절영도 지명 변천 연구. 동남어문논집, (), 5-35

MLA

이근열. "부산 절영도 지명 변천 연구." 동남어문논집, (2023): 5-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