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행동기에 따른 여행 치유경험과 심리적 효과
이용수 241
- 영문명
- Healing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travel according to travel motivation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홍민정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7권 제3호, 35~5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여행동기에 따른 여행의 치유효과에 주목해 다양한 동기의 여행을 통한 여행 치유경험과 심리적 효과에대해 구성개념 간 영향관계를 규명하고 그 차이를 함께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내국인 여행자를 대상으로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총 247부의 유효표본을 토대로 군집분석과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해 실증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먼저 군집분석을 통해 도출한 여행동기 유형 집단 간 치유경험과 심리적 효과에 대한 차이검정 결과, 여행을통한 긍정적 치유경험과 심리적 효과를 위해서는 새로운 체험과 휴식 및 재충전에 대한 여행동기 중요도가 높다는 것을알 수 있었다. 또한, 관계강화를 위한 여행은 개인의 심리적 치유에는 오히려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될 수 있음을시사하였다. 더불어 여행동기 요인 중 새로운 체험, 휴식 및 재충전, 역사문화탐구 요인은 치유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관계강화 요인은 인지적 치유경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통적으로 과시적 소비 동기요인은모든 치유경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여행을 통한 정서적, 인지적 치유경험은 심리적 효과에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여행을 통한 개인의 심리적 치유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휴식과 새로운 경험이 적절히 어우러져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으며, 치유관광상품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한다. 이연구결과에 대한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은 결론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ing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travel based on different motivations, as well as the differences between healing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travel based on travel motivation. Using cluster analysis,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247 valid samples collected from a survey of Korean travellers,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First, after verifying differences in healing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effects between groups of travel motivation types derived from cluster analysis, it was determined that travel motivation is crucial for new experiences, relaxation, and recharging. In addition, travelling to strengthen relationships can be detrimental to an individual's psychological recovery. And, among the factors of travel motivation, new experiences, relaxation and recharging, and historical and cultural explor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healing experiences, whereas relationship strengthening had a negative effect on cognitive healing experiences. It was discovered that the motivational factor of conspicuous consumption did not affect all healing experiences. Last but not least, it was discovered that emotional and cognitive healing through travel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rest and new experiences must be properly combined to expect an individual's psychological healing effect through travel, suggesting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healing tourism products. In the conclusion,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in greater depth.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호텔산업 종사자에 대한 서번트 리더십의 반복적 실천경험 분석
- 여성 호텔 조직원의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이해
- 합성곱 신경망과 이미지 피처 벡터 클러스터링을 활용한 국내 어촌마을 선호장면 분석
-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외국인 관광자의 북한관광 인식 및 이미지 분석
- 생태 문화 소비의 기대-경험 일치 및 불일치에 따른 만족 차이 분석
- 코로나19 상황에서 단어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관광 전환·회복의 의미 변화 연구
- 여행동기에 따른 여행 치유경험과 심리적 효과
- [권두언] <관광학연구>를 ‘리스펙’한다
- [편집인의 글] 학문후속세대와 신진 연구자에 의존하는 국내 관광 연구 국내 관광 연구의 아마추어리즘화와 연구윤리 문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융합관광콘텐츠연구 제10권 제3호 목차
- 지역 역사의 관광자원화를 위한 표상화된 지방구술사의 활용성 : 부산 안창호랭이마을과 비석문화마을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관계혜택이 고객 만족과 고객 충성에 미치는 영향: 호텔 고객의 성별에 의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