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컬 전공 학습자를 위한 작곡 지도방안 연구: 재즈 즉흥연주 원리를 중심으로
이용수 89
- 영문명
- A Study of Composition Instruction Based on Principles of Jazz Improvisation for Vocal Majors
- 발행기관
- 한국대중음악학회
- 저자명
- 남예지
- 간행물 정보
- 『대중음악』통권 31호, 95~12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재즈 즉흥연주의 원리를 활용하여 보컬 전공 학습자들이 가창을통해 작곡을 경험하도록 지도하는 방안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즉흥연주의 원리를 활용하지만, 본격적인 재즈 즉흥연주 테크닉을 배양하는 것보다는 즉흥연주를 작곡의 도구로 활용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수업은 크게 ‘코드 톤 가창’, ‘화성 진행 위에서의 코드 톤 가창’, ‘화성 진행에 멜로디 만들기’, ‘가사를활용하여 멜로디 만들기’의 네 단계로 이루어지며, 이는 주어진 전체 수업의 차수와 학습자의 이론적 배경 및 성취도에 따라 단계를 세분화하여 진행할 수 있다. 수업에서 학습자는 가창을 통한 창작을 경험하고 창의적 작업과 관련된 기반을마련할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는 보컬 전공 학습자들이 이론과 가창을 교차시킬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음악적 스펙트럼을 확장할 수 있도록 돕는 지도방안의 개발이라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method of teaching vocal learners to experience composition through singing that applies the principles of jazz improvisation, but focuses on improvisation as a tool for composition rather than cultivating authentic jazz improvisational techniques. The lessons are divided into four phases: singing chord tones, singing chord tones over chord progressions, creating melodies over chord progressions, and creating melodies with lyrics, which can be broken down into smaller steps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overall lesson and the learner’s theoretical background and achievement. In the class, learners can experience creation through singing and lay the foundation for creative work.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development of a pedagogical approach to help vocal majors expand their musical spectrum through opportunities to combine theory and performance.
목차
1. 서론
2. 재즈 즉흥연주의 원리
3. 즉흥연주 원리를 활용한 작곡 수업의 제안
4.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2 한국대중음악학회 제31회 정기학술발표대회: 기획 세션 “대중음악 현장이 경험한 팬데믹” 라운드테이블
- 악곡 분석으로 본 손석우의 음악 세계
- 스포츠와 응원가: 강렬한 정념의 집합적 표출
- 보컬 전공 학습자를 위한 작곡 지도방안 연구: 재즈 즉흥연주 원리를 중심으로
- 예술가 정체성에 대한 질적 연구: 음악인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 이소라 노랫말의 ‘수동성’과 ‘외로움’
- ‘코로나 블루’가 대중가요 가사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2019년과 2021년 인기 대중가요를 중심으로
- 인터넷 환경에서의 대중음악규제 양상: 청소년 유해음반 지정과 해제를 중심으로
- [특별기고] 다각적으로 재평가되는 현대 한국의 트로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AI인 ‘Text to Music’을 집단탐구모형에 적용한 음악 창작지도 설계 방안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한국 음악소양 검사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 타당도 연구
- 지역형 초등국악 교사학습공동체의 참여경험 탐색 - 초점집단면담(FGI)을 중심으로 -
- 포스트 휴먼 시대, 실천적 미적 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가치 탐색 - 자기 이해와 타자 이해에의 조망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