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술가 정체성에 대한 질적 연구: 음악인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이용수 369
-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f artist identity through interviews with artists in the music field
- 발행기관
- 한국대중음악학회
- 저자명
- 김현중
- 간행물 정보
- 『대중음악』통권 31호, 61~9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예술이라는 형이상학적 개념은 철학자들과 이론가들에 의해 오랜 시간 논의되어 왔음에도 아직까지 명확히 정의되지 못했고 그에 대한 다양한 관점들이공존하고 있을 뿐이다. 현대에 들어 예술의 경계는 점점 더 모호해졌고, 인간이아닌 동물이나 AI가 만든 창작물의 등장으로 인해 예술가 정체성에 대한 근본적인 사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정체성 이론을 바탕으로 음악 예술인들의 경험과 현실적인 관점이 담긴 심층 면담을 통해 예술가정체성의 원천과 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았다. 예술가 정체성은 예술 작품으로부터 받은 감동과 영감으로부터 시작되어, 예술적 기술을연마하는 무형의 과정 또는 예술적 창작물이라는 유형의 결과를 통해 형성된다. 동시에 예술가는 각자 주관적인 ‘예술 인정 영역’을 설정하고 그 영역 안에소속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한다. 예술 인정 영역은 예술가 정체성 돌출계급의 최상단에 ‘예술가’로 자리하며, 그 밑으로 기능인으로서의 ‘예술인’, 그리고 계급의 최 하단에는 그 외 다중 정체성이 위치한다. 예술가 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주된 요인은 예술 작품 속 작가의 의지 및 의도 반영 여부, 정체적소속감의 변동, 그리고 같은 예술계에 종사하는 동료의 평가와 피드백으로 나타났다. 예술가 정체성은 한 국가의 외교, 경제와도 밀접한 관계를 갖게 된 문화예술의 근본적 핵심 요소로서 그 의의를 가진다. 예술가 정체성과 정체성 괴리감에 대한 연구는 예술의 본질과 예술이 갖는 의미를 보다 더욱 구체화 시키고효율적이며 효과적인 예술 창작 환경 조성 등을 위한 실용적 관점에서도 응용가능하다.
영문 초록
Although the concept of art has long been discussed by philosophers and theorists, it has not been clearly defined and a variety of perspectives coexist today. Contemporarily, the borderline of art is becoming increasingly vague. The introduction of art created by animals or AI has triggered the need for a fundamental reconsideration of artist identity. This paper focuses on the origin of artist identity and the factors that affect it,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artists in the music field. Artist identity is formed by the inspiration received from art and shaped through the process of artistic “grinding” or creation. An artist subjectively sets “a boundary of perceived art” within which they try to stay that defines the top of the identity salience hierarchy under the title “artist.” Next in the hierarchy sits the “art worker” as a functional being in the art field, and multi-identity is placed at the bottom. The main factors that affect artist identity are whether the artist’s intention resides in their art, changes in the sense of belonging, and feedback from colleagues in the same artistic field. Artist identity constitutes the essential factor in art and culture and often comes to closely relate to a nation’s foreign policy and economy. A study of artist identity and its discrepancies would further solidify our grasp othe true nature and meaning of art. It is also applicable in practical terms to fostering a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creative artistic environment.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자료의 분석과 해석
4.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2 한국대중음악학회 제31회 정기학술발표대회: 기획 세션 “대중음악 현장이 경험한 팬데믹” 라운드테이블
- 악곡 분석으로 본 손석우의 음악 세계
- 스포츠와 응원가: 강렬한 정념의 집합적 표출
- 보컬 전공 학습자를 위한 작곡 지도방안 연구: 재즈 즉흥연주 원리를 중심으로
- 예술가 정체성에 대한 질적 연구: 음악인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 이소라 노랫말의 ‘수동성’과 ‘외로움’
- ‘코로나 블루’가 대중가요 가사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2019년과 2021년 인기 대중가요를 중심으로
- 인터넷 환경에서의 대중음악규제 양상: 청소년 유해음반 지정과 해제를 중심으로
- [특별기고] 다각적으로 재평가되는 현대 한국의 트로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AI인 ‘Text to Music’을 집단탐구모형에 적용한 음악 창작지도 설계 방안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한국 음악소양 검사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 타당도 연구
- 지역형 초등국악 교사학습공동체의 참여경험 탐색 - 초점집단면담(FGI)을 중심으로 -
- 포스트 휴먼 시대, 실천적 미적 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가치 탐색 - 자기 이해와 타자 이해에의 조망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