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긍정심리자본과 사회적지지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용수 209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on Happiness: Focusing on Middle-aged Women Working in Emotional Service Industry
- 발행기관
- 한국노년교육학회
- 저자명
- 박경자 김기중 현병환
- 간행물 정보
- 『노년교육연구』Vol. 9 No. 1, 24~42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감정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중년여성의 긍정심리자본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22년도 12월 17~22일까지 6일간 전국의 감정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중년여성(40-50대)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300명의 유효설문을 본 연구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의 결과, 첫째, 긍정심리자본이 높을수록 행복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사회적 지지는 행복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긍정심리자본과 행복감 간의 사회적지지의 매개적 작용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긍정심리자본과 행복감 간 영향관계에 사회적지지의 매개적 설명력은 매우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감정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중년여성의 긍정심리자본이 행복감을 높이기 위한 사회적지지의 동력을 위해서는 가족과 친구의 관계성 강화와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통한 정책마련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감정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중년여성의 행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적지지의 이론적, 그리고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influenc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happiness in middle-aged women engaged in the emotional service industry.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middle-aged women (40s-50s) engaged in the appraisal service industry nationwide for 6 days from December 17 to 22, 2022, and as a result, 300 valid surveys were used in this research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analyzed that the higher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greater the positive (+) effect on happiness. Second, social support was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happiness. Third, the mediating action of social support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happines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other words, it was shown that the mediating explanatory power of social support had a very significant effect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happiness. These results show the necessity of preparing policies through strengthening relationships with family and friends and forming social consensus to support them in order for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middle-aged women engaged in the emotional service industry to be the driving force of social support to increase happines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social support to improve the happiness of middle-aged women engaged in the emotional service industry were presented.
목차
10.31748/KSEG.2023.9.1.24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