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활동 침해 피해 교사의 집단상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이용수 287
-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Group Counseling Experiences for Teachers Who Experienced Educational Activity Infringement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양은향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10권2호, 127~14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활동 침해 피해 교사를 위한 치유적 개입 방안을 도출하여 교육활동 침해 예방과대처에 적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 교육활동 침해 관련 선행연구를 교육활동 침해로인한 심리적 피해의 양상과 교육활동 침해에 대한 대처로 구분하여 개관하였다. 또한 교육활동 침해를경험하고 회복을 위한 집단상담에 참여한 교사들의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교육활동침해로 발생하는 부정적 증상의 과 스트레스 장애의 치유와 회복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사회적 지지, 인지적 재구성, 경험의 정서적 재구성, 대처방식에 대해 다루었으며, 교육활동 침해예방을 위한 대처방식의 훈련, 상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 지원 등을 논의하였다. 또한, 연구의제한점과 추후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therapeutic intervention plan for teachers who arevictims of educational activity infringement and apply it to prevent and cope with the violationof educational activities. To this end, previous research on educational activity infringement inKorea was analyzed. Also, the experiences of teachers who experienced educational activityinfringement and participated in group counseling for recovery were phenomenologicallyanalyzed. Social support, cognitive reconstruction, emotional reconstruction of experiences, andcoping strategies were dealt with as factors that positively influence negative symptoms and thehealing and recovery of stress disorders caused by educational activity infringement. Thetraining of coping methods to prevent educational activity infringement and the institutionalsupport to increase access to counseling is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Ⅲ. 교육활동 침해 피해 교사를 위한 집단 상담 참여 경험의 현상학적 분석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 교사 AI교육정책의 도입 및 시사점
- 마음챙김 명상 분야의 체계적인 용량-반응 효과 연구를 위한 문헌고찰
- 중급상담자의 역전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병사의 군 생활 스트레스와 군 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내재적 입대동기와 탄력성의 다중매개효과
- 사별 후 애도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노인복지정책의 통합적 분석
- 교육활동 침해 피해 교사의 집단상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 비교과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진로·취업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정서적 경험 도시숲 산림 치유 프로그램이 중년 성인의 감정조절 및 건강증진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청소년 기관 초심 상담자들이 경험하는 어려움과 의미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긍정적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상담가가 보고하는 강력범죄피해 후유증의 경과와 효과적인 상담전략
- 건강가정지원센터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2004∼2022년
- 상담심리교육복지 10권2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사회심리발달연구 제5권 2호 목차
- 보육교사의 원장-교사 교환관계와 이직의도 관계에서 과업갈등과 직무만족의 순차적 매개효과
- 성별에 따른 중학생의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조절곤란, 비자살적 자해 간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된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