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교사들은 학생의 대답에 어떻게 피드백 하는가?

이용수 2

영문명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Lesson Plays: How Do Preservice Teachers Give Feedbacks to Students in an Imaginary Classroom Discourse?
발행기관
대한수학교육학회
저자명
이지현
간행물 정보
『학교수학』제19권 제1호, 19~4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3.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a) 예비교사들이 생각하는 학생의 대답에 대한 피드백 패턴 및 교실 담화 양상을 확인하고, b) 예비교사들의 피드백 패턴과 교실 담화를 개혁 지향적인 수업 동영상과 비교 분석하여, 교실 담화에 대한 교수전문성의 신장 방안에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동일한 교수 상황에 대해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가상적 교실 담화인 lesson play와 개혁 지향적 수업에 나타난 교사 피드백 패턴을 분석하여, 네 가지 피드백 패턴으로 구분하고 그에 따른 교실 담화의 특징을 논의하였다.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이 생각했던 교사 피드백은 주로 학생의 대답을 평가하고 의미를 전달하는 단성적 기능(univocal function)을 수행하는 것이었으나, 개혁 지향적 수업은 학생 전체에게 제기된 답에 대한 정당화-반박의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학생들의 의미 생성을 촉진하는 대화적 기능(dialogical function)의 피드백을 포함하고 있었다. lesson play의 단성적 담화와 수업 동영상의 대화적 담화의 비교 분석은, 교사의 피드백 발화가 교실 담화의 주 기능과 학생들의 인지적 참여 수준을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 이자 ‘변수’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의 결과는 교사들이 높은 질의 교실 담화를 구현하기 위하여, (예비) 교사들이 구체적인 담화 맥락에서 선택할 수 있는 피드백의 다양한 가능성을 인지하고, 피드백 발화에서 ‘의미 전달’과 ‘의미 생성’ 기능을 어떻게 조화시킬 수 있는지 성찰하는 경험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a) identify how preservice teachers conceive feedbacks and subsequent classroom discourses, and b) compare them with those in reform-oriented mathematics classroom video for mathematics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bout classroom discourse. This article analyzes feedback patterns and subsequent classroom discourses in preservice teachers’ imaginary classroom scripts (lesson plays) and compares them with those in the reform-oriented classroom video dealing with the same teaching situation. Most of the preservice teachers’ feedbacks focused the evaluation of students’ responses and transmission of meaning (univocal function), whereas the teacher’s feedback in the reform-oriented classroom allowed the whole class to validate or challenge the answers, thereby facilitating students’ generation of meaning (dialogic function). The comparison analysis between the univocal discourse in a preservice teacher’s lesson play and the dialogical discourse in the reform-oriented classroom video shows that teacher feedback serves as an important indicator for the main function of classroom discourse and the levels of students’ cognitive participation, and also as a variable that determines and changes them. This case study suggests that to improve the quality of classroom discourse,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need experience of perceiving the variety of feedback patterns available in specific teaching contexts and exploring ways to balance the univocal and dialogical functioning in their feedback move during the teacher training course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단성적 담화와 대화적 담화
III. 연구방법
IV. 연구 결과: lesson play와 수업 동영상 담화 분석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현. (2017).예비교사들은 학생의 대답에 어떻게 피드백 하는가?. 학교수학, 19 (1), 19-41

MLA

이지현. "예비교사들은 학생의 대답에 어떻게 피드백 하는가?." 학교수학, 19.1(2017): 19-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