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무중력 운동기구를 활용한 하이플랭크 운동의 효과성 검증
이용수 17
- 영문명
-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High Plank Exercise using Weightless Exercise Equipment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김유신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제40권 제2호, 342~347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무중력 운동기구를 활용한 하이플랭크 운동 동작 차이에 따른 상완, 체간 및코어근육의 근활성도를 비교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대 남성 6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고(연령, 23.00±0.73 세; 신장, 172.95±2.05 cm; 체중, 66.83±2.75 kg; 신체질량지수, 22.33±0.72 kg/m2), 4가지(HP, HPAW, HPSB 및 HPWT)의 하이플랭크 동작을 수행하였으며, 근활성도 분석을 위하여 구체적인 표면전극의 부착 부위는 신체 근육의 우측 삼각근, 상완삼두근, 광배근 및 외복사근으로 설정하였다. 본 실험 결과, 삼각근, 상완삼두근, 광배근 및 외복사근의 근활성도는 HPSB 동작 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0).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무중력 운동기구를 활용한 하이플랭크 동작 시 효과적인 운동 프로그램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omparison of upper arm, trunk and core muscle activities according to different performance in high Plank exercise using weightless exercise equipment. Six males(age, 23.00±0.73 years; height, 172.95±2.05 cm; body mass, 66.83±2.75 kg; and BMI, 22.33±0.72 kg/m2) completed this study as the subjects. Four type’s high Plank exercises using weightless exercise equipment were performed(high plank, HP; high plank with air walker, HPAW; high plank with surf board, HPSB; high plank with waist trainer, HPWT). For the EMG analysis, we measured the body muscle activities of right side on the deltoid(DT), triceps brachii(TB), latissimus dorsi(LD), and external oblique(EO). This research’s results were as follows. DT, TB, LD, & EO muscle activities were greatest during HPSB(p=.000). Therefore,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for high Plank exercise using weightless exercise equipment performance applications in effective exercise programs.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계획된 행위 이론에 근거한 중장년층의 헌혈 의도 영향요인
- 두룽족 여성의 얼굴 문신 문화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 스포츠실 수업의 프레즌스 경험이 즐거움, 몰입 및 스포츠 활동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년여성의 건강행위이행 영향 요인
- 편백 오일의 항주름, 피부 장벽 및 보습능 평가
- K-뷰티 브랜드의 CSR동기가 CSR 진정성과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유소년 축구클럽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효과성 검증
-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 지식과 표준주의 수행 간의 관계
- 간호사의 대인관계 능력이 재직 의도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 운동만족, 운동지속의도의 관계
- 난소절제 쥐에서 비만과 지방조직 염증에 대한 제니스테인과 운동의 영향
- 『산해경·오장산경』 수해 캐릭터 유형 특성에 관한 분석 연구
- 노인의 재활 필라테스 운동이 낙상 예방 효과에 대한 고찰
- 인간 피부각질세포에서 Hydrogen peroxide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붉은 토끼풀 추출물의 세포 보호 효과
- 오일샌드 테일링 처리 동향연구
- 머위(Petasites japonicus)의 피부장벽과 항염증 효과
- 무중력 운동기구를 활용한 하이플랭크 운동의 효과성 검증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화학공학분야 BEST
- 생태학적 이론에 근거한 성인 중도장애인의 장애수용 영향요인
- 그린워싱 인식에 따른 친환경 화장품 구매성향과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연구: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
- 임상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이 임상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비판적 사고성향과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의 이중매개효과
공학 > 화학공학분야 NEW
- 이산화탄소로부터 재생합성항공유의 제조 기술개발 동향 분석 연구
- 파인애플 세이지 (Salvia elegans Vahl) 추출물의 화장품 약리활성에 관한 연구
- Effect of Cosmetics Brand Consumers' Attachment and WOM Intention by Applying the Experience Economy Theor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