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K-뷰티 브랜드의 CSR동기가 CSR 진정성과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5
- 영문명
- The Effect of CSR Motivation of K-Beauty Brands on CSR Authenticity and Brand Trust: Focusing on Comparison of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이선주 정윤희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제40권 제2호, 210~222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K-뷰티브랜드의 CSR동기가 CSR 진정성과 브랜드 신뢰에 주는 영향과 CSR 진정성과 브랜드 신뢰가 브랜드 지지에 주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중 소비자 데이터를 이용해 비교연구하여 진행하였다. 수집된 데이터 중 392부를 검증에 사용하였고 2단계 접근법과 최우도 측정법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본위적 동기를 제외한 가치지향적, 이해관계자지향, 전략적 동기는 CSR 진정성과 브랜드 신뢰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SR 진정성은 브랜드 신뢰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고, 이는 브랜드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중 소비자를 비교한 결과, 두 나라 모두 CSR동기가 진정성과브랜드 신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국소비자가 한국소비자보다 더 많은 부분에서 높게 나타난 결과를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K-뷰티 브랜드의 중국시장 확장을 위해서는 중국소비자를 이해하고 그들이 추구하는 CSR동기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가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study using Korean and Chinese consumer data to confirm the impact of K-beauty brand's CSR motivation on CSR authenticity and brand trust, and the effect of CSR authenticity and brand trust on brand support. Of the collected data, 392 copies were used for verification and analyzed using a two-step approach and maximum likelihood measur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value-driven, stakeholder-driven, and strategic motivations, excluding egoistic motiva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CSR authenticity and brand trust. In addition, CSR authenticity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trust, which was found to support the brand. As a result of comparing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it was found that CSR motives in both countries affect authenticity and brand trust, but Chinese consumers showed higher results in more areas than Korean consumers. These results show that K-beauty brands in order to expand the Chinese market, it has implications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Chinese consumers and strengthen the CSR motivation strategy they pursue.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계획된 행위 이론에 근거한 중장년층의 헌혈 의도 영향요인
- 두룽족 여성의 얼굴 문신 문화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 스포츠실 수업의 프레즌스 경험이 즐거움, 몰입 및 스포츠 활동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년여성의 건강행위이행 영향 요인
- 편백 오일의 항주름, 피부 장벽 및 보습능 평가
- K-뷰티 브랜드의 CSR동기가 CSR 진정성과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유소년 축구클럽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효과성 검증
-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 지식과 표준주의 수행 간의 관계
- 간호사의 대인관계 능력이 재직 의도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 운동만족, 운동지속의도의 관계
- 난소절제 쥐에서 비만과 지방조직 염증에 대한 제니스테인과 운동의 영향
- 『산해경·오장산경』 수해 캐릭터 유형 특성에 관한 분석 연구
- 노인의 재활 필라테스 운동이 낙상 예방 효과에 대한 고찰
- 인간 피부각질세포에서 Hydrogen peroxide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붉은 토끼풀 추출물의 세포 보호 효과
- 오일샌드 테일링 처리 동향연구
- 머위(Petasites japonicus)의 피부장벽과 항염증 효과
- 무중력 운동기구를 활용한 하이플랭크 운동의 효과성 검증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화학공학분야 BEST
- 생태학적 이론에 근거한 성인 중도장애인의 장애수용 영향요인
- 그린워싱 인식에 따른 친환경 화장품 구매성향과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연구: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
- 임상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이 임상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비판적 사고성향과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의 이중매개효과
공학 > 화학공학분야 NEW
- 이산화탄소로부터 재생합성항공유의 제조 기술개발 동향 분석 연구
- 파인애플 세이지 (Salvia elegans Vahl) 추출물의 화장품 약리활성에 관한 연구
- Effect of Cosmetics Brand Consumers' Attachment and WOM Intention by Applying the Experience Economy Theor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