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간 피부각질세포에서 Hydrogen peroxide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붉은 토끼풀 추출물의 세포 보호 효과
이용수 51
- 영문명
- Protective Effects of Trifolium pratense L. Extract against H₂O₂-induced Oxidative Stress in HaCaT Keratinocytes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신미송 이유경 최서영 황지선 송박용 박현철 김근기 손홍주 김유진 이광민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제40권 제2호, 223~23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산화적 스트레스는 세포 및 조직 손상을 통해 피부의 탄력 및 보습 기능 저하, 피부 노화 촉진을 비롯한 다양한 피부질환을 일으킨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 피부각질세포 (HaCaT keratinocyte)에서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붉은 토끼풀 추출물의 효능을 검토하여, 피부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붉은 토끼풀 추출물이 인간 피부각질세포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따른 세포사를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여, 이를 조절하는 보호기전을 규명하였다. 이는 붉은 토끼풀 추출물이 Caspase-3 비활성, 세포사 촉진단백질 Bax 발현 억제, 세포생존 촉진단백질Bcl-2 발현 증가 및 MAPK 신호전달계 단백질의 인산화 억제를 통해 H2O2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를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붉은 토끼풀 추출물은 피부의 산화적 손상을 감소시키는유용한 소재로 평가되며, 이는 피부보호 및 미용을 위한 다양한 제품 및 산업에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판단된다.
영문 초록
Oxidative stress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various skin conditions, resulting in cellular and tissue damage tha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kin tone unevenness, roughness and wrinkles. In this study, we found that Trifolium pratense L. extract (TE) attenuated oxidative-induced damage in HaCaT cells and elucidated the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 Our finding demonstrated that TE effectively protected HaCaT cells against H2O2-induced cell death by inhibiting caspase-3 activation, downregulating Bax and upregulating Bcl-2, and attenuating the activation of three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Our results suggest that TE has remarkable cytoprotective properties against oxidative damage in HaCaT cells and could serve as a complementary or alternative approach to prevent and treat skin damage.
목차
1. 서 론
2. 실 험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편백 오일의 항주름, 피부 장벽 및 보습능 평가
- 계획된 행위 이론에 근거한 중장년층의 헌혈 의도 영향요인
- 고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 운동만족, 운동지속의도의 관계
- 노인의 재활 필라테스 운동이 낙상 예방 효과에 대한 고찰
- 두룽족 여성의 얼굴 문신 문화에 관한 연구
- 『산해경·오장산경』 수해 캐릭터 유형 특성에 관한 분석 연구
- 중년여성의 건강행위이행 영향 요인
- 국내 유소년 축구클럽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효과성 검증
- K-뷰티 브랜드의 CSR동기가 CSR 진정성과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
- 간호사의 대인관계 능력이 재직 의도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인간 피부각질세포에서 Hydrogen peroxide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붉은 토끼풀 추출물의 세포 보호 효과
- 난소절제 쥐에서 비만과 지방조직 염증에 대한 제니스테인과 운동의 영향
- 머위(Petasites japonicus)의 피부장벽과 항염증 효과
- 가상현실 스포츠실 수업의 프레즌스 경험이 즐거움, 몰입 및 스포츠 활동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 지식과 표준주의 수행 간의 관계
- 오일샌드 테일링 처리 동향연구
- 무중력 운동기구를 활용한 하이플랭크 운동의 효과성 검증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화학공학분야 BEST
더보기공학 > 화학공학분야 NEW
- 혈중 엽산농도가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미용학원의 관계마케팅이 교육서비스 품질 및 학습자 관계몰입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위험지각이 대학생들의 화장품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