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원문화권 남한강 본류역 성곽 조사·연구 현황과 과제

이용수 77

영문명
Current Status and Tasks of Tangeumdae-Fortress and Jangmi- Fortress in Chungju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이솔언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71輯, 59~97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4.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원문화권은 예부터 지리적으로 육로와 수로를 기반으로 한 교통로의 중심이었으며, 특히 충주지역은 소백산맥(영남)과 인접하고 남한강 수로로 손쉽게 당대 서울로 이동할 수 있는 지리적인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충주 탄금대토성과 장미산성 등 수로를 효과적으로 방어 및 이용하기 위한 성곽들이 강변에 입지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충주 탄금대토성과 장미산성을 중심으로 성벽과 성벽 시설물, 성내 시설물을 분석하고, 향후 조사·연구 과제에 대해서도 제시해보았다. 탄금대토성의 성벽은 토제 등을 성토하여 체성부를 조성하였고, 성토 과정에서의 마감과 기획을 위해 기저부 보강석렬을 이용한 점이 특징적이다. 내부에서 확인된 주거지와 저수시설에서는 철정, 송풍관이 출토되어, 인근의 칠금동 제철유적과 연관성이 더욱 높아졌다. 향후 조사에서는 철 생산집단의 생활공간으로서 성격과, 성벽 축조기법에 대한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장미산성의 석축성벽은 경사면을 계단식으로 굴착하고, 내측 벽면의 기반층까지는 내탁하고 그 이후부터는 협축으로 조성되었다. 성벽 시설물로는 목책치성과 배수시설, 석환 보관용 석곽, 기저부 보축시설 등이 확인되었다. 장미산성의 성벽 축조방식은 다른 남한강 본류역 성곽들에서도 확인되며, 지형을 극복하기 위한 방식으로 판단된다. 또한, 아직까지 장미산성에서는 수구가 확인되지 않아 앞으로의 조사·연구를 통해 밝혀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장미산성은 수차례의 조사에 비해 단계(시기)별 경관 변화상이 뚜렷하지 않다. 주로 백제 한성기 토기편이 출토되었으나, 한성기에 축성한 성벽은 확인하지 못했다. 또 충주고구려비와의 연관성에 비해 소량의 고구려 유물만 출토되어, 성벽과 시설물에서 그 모습을 밝혀내지 못한 한계가 있다. 이러한 성곽의 경관 변화상은 향후 성내 시설물의 조사를 통해 운영단계를 보완할 수 있으며, 성벽의 수축양상과 연관시켜 이해해볼 수 있을 것이다. 향후 계속해서 축적될 중원문화권 성곽의 조사·연구자료와의 비교로, 이 과제들을 해결해나갈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영문 초록

Chungju is adjacent to the Yeongnam region and has a geographical advantage that it can easily move to the capital of the time by waterway. Therefore, the fortresses were next to the river, effectively defending and using the waterway. In this paper, the walls and facilities were analyzed, focusing on Tangeumdae-Fortress and Jangmi-Fortress in Chungju, and future research and research tasks were presented. Tangeumdae-Fortress built a wall by building a embankment, and it i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tone columns as a meaning of planning while building soil. Inside, iron ingots and tuyere were excavated, making it more relevant to nearby iron manufacture ruin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s a living space for iron production groups and wall construction techniques. The walls of Jangmi-Fortress were built against the slope of the mountain and then built by stacking stones both inside and outside. This construction technique is also confirmed in other surrounding fortresses and is a method to overcome the topography. As for the facilities, Supplementary defensive fortress, drainage, and stone storage were identified. In addition, Jangmi-Fortress does not show clear changes in the landscape by period. Baekje pottery was mainly excavated, but the walls made during the Baekje period were not identified. In addition, no traces of Goguryeo were found compared to its connection with the Chungju Goguryeobi Monument. This will be able to supplement the operation stage through future investigation of internal facilities.

목차

Ⅰ. 머리말
Ⅱ. 남한강 본류역 성곽 조사·연구현황
Ⅲ. 남한강 본류역 주요 성곽 분석
Ⅳ. 남한강 본류역 성곽 조사·연구 성과와 과제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솔언. (2023).중원문화권 남한강 본류역 성곽 조사·연구 현황과 과제. 선사와 고대, (), 59-97

MLA

이솔언. "중원문화권 남한강 본류역 성곽 조사·연구 현황과 과제." 선사와 고대, (2023): 59-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