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쟁점 중심으로 본 연명의료결정법 제정 논의

이용수 101

영문명
Review of the Legislative Discussion of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Act, Focusing on the Most Debated Issues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저자명
이희재 김정아
간행물 정보
『생명윤리정책연구(Asia Pacific Journal of Health Law & Ethics)』Vol.16 No.2, 1~49쪽, 전체 49쪽
주제분류
법학 > 민법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0
8,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2009년 대법원 판결로부터 2016년 연명의료결정법의 제정까지 이어져 온 제정 논의를 살펴보되, 쟁점별로 어떤 논의를 거쳐 결정되었으며, 그 결정이 유지되거나 혹은 갑작스럽게 누락·변경되어 버렸는지를 살펴본다. 서로 다른 학문 분야와 실무 분야가 중첩되는 생애말기와 죽음이라는 대상을 고려하여, 이 논문은 제정 논의 안에서의 쟁점이 어떻게 서로 다른 주체들에게 해석되고 정의되었으며 그 단계에서 합의에 이르기 위해 규정되는지 확인한다. 여러 주체가 등장과 퇴장을 반복하는 제정 논의의 특성상, 이전 단계에서 합의에 이르렀던 개념마저도다음 단계에서 그 맥락이 상실되는 경우가 관찰된다. 본 논문은 연명의료의 중단이나 보류를 할수 있는 대상, 의사결정능력이 없는 환자의 경우의 결정 방식, 의료기관윤리위원회의 역할, 의료인에 대한 책임의 부여와 면제의 쟁점들에 관한 논의가 7년여간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추적한다. 공개된 문헌들을 대상으로 짧은 역사를 추적한 저자들은 추후 생애 말기 돌봄과 죽음 관련 법제의 제·개정을 위해서는 연속성과 투명성을 갖춘, 사회 전체가 참여할 수 있는 토의 구조가 필요하다고 결론 내리며, 이를 위한 선행과제로써 충분한 정보의 생성과 전달을 요구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legislative discussion of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Act, from the Supreme Court precedent in 2009 to the enactment of the Act in 2016. We examines what discussions were made for each issue and whether the decision was maintained or why it was suddenly omitted or changed. Considering the object of terminal stage of life and death, where different disciplines and practical fields overlap, this paper identifies how issues in the enactment discussion are interpreted, manipulated, and defined in order to reach agreement at each stage of discussion. Due to the nature of the legislative discussion in which several subjects repeatedly appear and leave, it is observed that even the concept that was agreed in the previous stage is lost in the next stage. This paper traces how discussions over the past seven years have been proceeded on these issues: people who can withhold or withdraw life-sustaining treatment; how one can decide when a patient is incompetent; the role of the institutional ethics committee; and issues of imposing and exempting responsibility for medical professionals. The authors, who tracked the short history of the published literature, concluded that the future enactment and revision of end-of-life care and death-related legislation requires a discussion structure that allows the entire society to participate in, and requires sufficient information to be generated and delivered as a prerequisite for discussion.

목차

Ⅰ. 서론
Ⅱ. 연명의료결정법이 제정되기까지
Ⅲ. 연명의료결정의 주요 쟁점을 둘러싼 제정 논의
Ⅳ. 연명의료를 둘러싼 논의가 법률에 미친 영향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희재,김정아. (2023).쟁점 중심으로 본 연명의료결정법 제정 논의. 생명윤리정책연구(Asia Pacific Journal of Health Law & Ethics), 16 (2), 1-49

MLA

이희재,김정아. "쟁점 중심으로 본 연명의료결정법 제정 논의." 생명윤리정책연구(Asia Pacific Journal of Health Law & Ethics), 16.2(2023): 1-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