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宋代 鄭樵 書畵同出論의 서화인식에 관한 연구

이용수 38

영문명
A Study on Zhèng Qiáo (鄭樵)’s Understanding of SeoHwa (書畵: Calligraphy and Painting) based on his Theory of SeoHwaDongChul (書畵同出: Calligraphy and painting are beginning from same root) in the Era of Song Dynasty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김은아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제42호, 187~20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정초가 왜 문자학에 중점을 두고 서화의 관계성을 인식하면서 서화동출을 제기하였는지를 밝힌 것이다. 장언원(張彦遠)이 주장한 서화동체 사유는 송대에 오면 정초(鄭樵)에 의해 서화동출론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정초는 서와 화의 동출의 의미를 문자학에 두면서 자신의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 본 고에서 규명한 정초의 서화동출론(書畵同出論)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육서에서 상형을 우선으로 두고 문언의 근본인 육서는 상형인 그림으로 형(形)을 취한다는 것이다. 그림인 화(畵)는 도(道)를 전달하고, 서화는 같은 근원에서 나왔기에 서화동출(書畵同出)임을 주장하였다. 둘째, 정초가 서화동출에서 언급하는 사유들에는 『주역』에 근거를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 문자의 기원 및 활용과 관련된 조자(造字) 사유에『주역』의 논리를 통해 설명하는 사유를 보인다. 셋째, 도(圖)는 학문의 성취 여부를 가늠할 수 있으며, 이 같은 도(圖)의 역할과 비중은 나라의 기틀을 세우는데 기여할 만큼 크다는 점에서 서화병용(書畫竝用)은 실용적인 면이 강하다. 넷째, 정초의 서화동출론과 장언원의 서화동체론은 일치성 및 동일성이 있다. 이 같은 정초의 서화인식은 서화의 역할 가치를 학문적 지위로 제고시켰고 학문적 테두리에서 서화의 실용성을 강조하였다. 정초는 결론적으로 서화가 학문의 성취를 돕고 나라의 기틀을 세우는데 기여 한다는 인식은 예술철학적 차원에서 육적과 공효를 같이 한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presents why Zhèng Qiáo understood the relation between Seo and Hwa focusing on graphonomy to raise the theory of SeoHwaDongChul. Zhāng Yàn Yuǎn (張彦遠)’s thoughts of SeoHwaDongChe (書畵同體: Calligraphy and painting are same as each other) led to the theory of SeoHwaDongChul suggested by Zhèng Qiáo in the era of Song dynasty. Zhèng Qiáo drew the meaning of DongChul of Seo and Hwa from graphonomy to develop his thoughts. The essences of his theory of SeoHwaDongChul investigated for this article are: First, YukSeo (六書: the theory of explaining about the form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six types) puts priority onto SangHyeong (象形: a type of formation of Chinese characters). He thought that YukSeo could not help putting such priority to Hyeong (形: shape) as literacy and language should be based on SangHyeong, painting. Hwa delivers Thao, and Seo and Hwa come out of same root, which itself means SeoHwaDongChul. Second, his theory of SeoHwaDongChul is based on I-Ching. In particular, his thoughts of such show that he tried to explain about the origin, usage and formation of characters through the logic of I-Ching. Third, Doh (圖: picture or figure) shows whether academic goal has been achieved. which means the role and weight of Doh are big and heavy enough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structure of a country. That is, the theory of SeHwaByengYong (書畫竝用: Seo and Hwa should be used together) is more for practice than for any other else. Fourth, Zhèng Qiáo’s theory of SeoHwaDongChul and Zhāng Yàn Yuǎn’s theory of SeoHwaDongChe look accord and same with each other. Such Zhèng Qiáo’s understanding of SeoHwa raised the role value of SeoHwa to an academic position and emphasized practicality of SeoHwa in academic boundary. In conclusion, Zhèng Qiáo’s understanding that SeoHwa helps academic achievement and contribution to establishing structure of a country is an argument that SeoHwa plays the role as same as that of YukJeok (六籍: six Confucian classics) at artistry level.

목차

Ⅰ. 서론
Ⅱ. 『通志』 「六書略」과 書畵同出論 관계
Ⅲ. 「圖譜略」과 書畵同出論 관계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아. (2023).宋代 鄭樵 書畵同出論의 서화인식에 관한 연구. 서예학연구, (), 187-207

MLA

김은아. "宋代 鄭樵 書畵同出論의 서화인식에 관한 연구." 서예학연구, (2023): 187-2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