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18세기 한글 간본문헌의 서체특징과 서예사적 의의

이용수 126

영문명
The Characteristics of Calligraphic Script of Published Hangeul Documents in the 18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ir Significance in Calligraphy History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박정숙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제42호, 5~39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대상은 18세기 조선 후기에 간행된 한글 간본문헌이다. 문헌에 실린 한글 서체의 변천 과정 및 그 양상을 추적 점검하여 미적 특징을 밝히며, 나아가 한글서예 창작 및 현대국어 생활 전반에 끼칠 수 있는 이월적(移越的) 가치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본 자료는 18세기 관서와 민간에서 간행한 한글 문헌 중 서체가 우수하며 가독성이 높고 서지적 사항이 확실한 60종을 대상으로 한다18세기 한글 간본문헌은 필획과 자형이 유연한 유형으로 목판본, 목활자본, 금속활자본 등 인쇄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특히 정리목활자로 간행된 『오륜행실도』(1797)는 서체의 균형과 안정성에서, 18세기 한글 자형의 안착된 모습을 볼 수 있다. 한편 내용면에서도 18세기 한글 간본문헌은 윤음 언해, 교화서, 외국어 학습서 등 시대의 물결과 요구를 다양하게 반영하고 있는데, 이 시기에 간행된 한글 간본문헌의 성격과 특징 및 서예사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1. 18세기 초에는 백성 교화 문헌 위주로, 후기에는 정치ㆍ경제 등 사회 전반에 걸친 변화를 반영하는 역사ㆍ외국어ㆍ문학ㆍ의학 등에 관한 한글 문헌과, 청(淸), 몽고(蒙古), 왜(倭), 만주(滿洲) 등 외국어 교육 관련 한글 문헌이 다수 출간되었다. 2. 18세기의 한글 간본은 어제(御製)의 경우 금속활자인 무신자를 주로 사용하였다. 문자의 외형은 세로가 길고 경직된 형태이나 국가에서 주도한 중앙 간본의 목판본은 자형이 유려한 필사체에 가깝다. 후반에 이르면 궁체형 필사체 형태로 정착되기 시작한다. 3. 병서류는 지방에서, 의서류는 대부분 중앙에서 간행했다. 4. 창제 초기의 돋움체에서 바탕체 서체로 변천 정착되는 서예사적 특징을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published Hangeul documents in the 18th centu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Its purpose is to trace and inspect the process of change of Hangeul scripts in documents, reveal its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examine the value that can affect the creation of Hangeul calligraphy and modern Korean life. Among the Hangeul documents published by government offices and the private sector in the 18th century, I selected 60 types of Hangeul documents with excellent calligraphic scripts, high readability, and clear bibliographical information and studied them. The scripts of the published Hangeul documents in the 18th century are flexible in strokes and shapes and appear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printing method, such as woodblock, wooden type, and metal type. In particular, Oryunhaengsildo(1797), which was printed in an organized wooden type, shows the settled appearance of Hangeul characters in the 18th century in terms of the balance and stability of calligraphic scripts.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content, the published Hangeul documents in the 18th century reflect the trends and demands of the times in various ways, such as Yuneum Eonhae(the king’s word with Hangeul annotation), edification books, and foreign language learning book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shed Hangeul documents during this period and their significance in calligraphy history are as follows. 1. In the early 18th century, Hangeul literature for edifying people was mainly published. In the later period, Hangeul literature on history, foreign languages, literature, and medicine reflecting changes throughout society, politics, and economy was published, and there was much of Hangeul literature related to foreign language education, such as Qing, Mongolian, Wae(Japanese), and Manchurian. 2. The Hangeul documents in the 18th century printed by the king’s order mainly used Musinja(metal type cast in 1668). The appearance of the characters is long and rigid, but the woodblock print of the central government edition led by the state is close to the elegant handwriting. In the latter years, it begins to change into the manuscript form of court-style calligraphic scripts. 3. Books on military science were published in the local government offices, and most medical books were published by the central government. 4. I could find the characteristics of calligraphy history that the Dodum style(block print style of calligraphy) in the early days of Hangeul creation changed and settled down as the Batang style(manuscript style of calligraphy).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검토 대상 문헌 해제
Ⅲ. 자모음의 조형 양상 분석
Ⅳ. 초·중성, 초·중·종성의 조형 양상 분석
Ⅴ. 주제별 분류에 따른 서체 특징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정숙. (2023).조선시대 18세기 한글 간본문헌의 서체특징과 서예사적 의의. 서예학연구, (), 5-39

MLA

박정숙. "조선시대 18세기 한글 간본문헌의 서체특징과 서예사적 의의." 서예학연구, (2023): 5-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