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팔하 서석지 『筆鑑』의 서학론 분석

이용수 9

영문명
A Study on the Calligraphy Spirit of Palha in 『Pilgam』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정지훈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제42호, 41~7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팔하(八下) 서석지(徐錫止, 1826-1906)가 저술한 서예이론서 『필감(筆鑑)』에 나타난 팔하의 서예정신을 고찰한 글이다. 팔하는 대구 달성(達成) 서씨 가문 자제로, 대구영남 서단을 무대로 활동한 서예가이다. 유년기에 창암(蒼巖) 이삼만(李三晩, 1770-1847)에게서 글씨를 배웠으며, 관직에 진출하지 않고 서예에 매진한 당시로서는 유례를 찾기 힘든 전문 서예가였다. 본고는 이러한 팔하 서예의 결정체라 할 수 있는 『필감』에 나타난 그의 서예에 관한 이론적 인식을 고찰하였다. 『필감』은 아들 경순에게 전하기 위해 편찬한 것으로 조선말기에 이르러 보기 드문 전문 서론서이다. 일획법과 영자팔법의 기본 서법부터 집필법, 운필법, 결자법, 용묵, 임고론, 서체론 등 팔하의 서예이론을 총괄한 내용이 담겨 있고 부록으로 서법원인과 제가품평, 「진초천문」 임서본이 실려 있다. 팔하의 서법론에서는 일획법과 영자팔법, 집필법, 운필법, 결자법으로 분류하여 고찰하였으며 그 요지는 다음과 같다. 일획법과 영자팔법은 획도(畫圖)를 싣고 자연물에 비유한 설명으로 학서(學書)를 용이하게 하였고, 집필법은 지실(指實)·장허(掌虛)·현완(縣腕)·관직(官直)을 중요시하였고, 운필법은 장봉(藏鋒)과 ‘無垂不縮’, ‘承上接下’의 원리를 중요시하였고, 결자법은 소밀(疏密)의 조화와 참치(參差)를 중요시하였다. 팔하의 서예관에서는 임고론, 서체론으로 분류하여 고찰하였으며 그 요지는 다음과 같다. 임고는 取長補短의 학문적 자세를 중요시하였고, 서체는 전서로써 예서의 법도를 세우고, 해서로써 행서의 법도를 세우며, 장초로써 초서의 법도를 세울 것을 중요시하였다. 이상을 통해 『필감』은 일획법, 영자팔법, 집필법 등이 고전의 학서론에 근거하여 체계적인 서예이론을 전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法古創新과 取長補短의 서예관을 지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팔하의 서론은 서예학습과 창작에서 지침으로 삼을 수 있는 풍부한 내용과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한국서예사에서도 주목받을 만한 이론적 성과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Pal Ha's calligraphy theory and calligraphic spirit as portrayed in his work featured in 『Pilgam』. I would like to replace the conclusion by synthesizing what was discussed in the main body. First of all, as a professional calligrapher who worked in the Daegu calligraphy circle, he learned calligraphy from Changam in his youth, and was also an early teacher of Seokjae Seo Byeong-oh who is the renovation of Daegu literary painting, and is considered the origin of Daegu calligraphy in the 20th century. Pilgam was compiled to convey to his son Gyeong-soon, and is a rare professional calligraphy theory book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comprehensively covers Palha’s calligraphic theories from basic techniques of one-stroke technique and Eight Principles of Yong (永字八法) to writing method, brushstroke method, letter closing method, ink usage, theory on copying practice with classics, theory on calligraphic font and the like along with appendices of Seobeopwonin (書琺原因), Jegapumpyeong (諸家品評, criticism on calligraphic masters) and his copying practice of 「Jinchocheonmun (眞草千文)」. The theory on calligraphic technique on 『Pilgam』 classified and examined one-stroke technique, Eight Principles of Yong, writing method, brushstroke method and letter closing method and the gist is as follows. The one-stroke technique and Eight Principles of Yong facilitated studying calligraphy (學書) with illustrations and metaphorical explanations with natural objects. The writing method stressed control of five fingers (指實), space given to the palm (掌虛), lifting the elbow (縣腕) and standing of a brush (管直). The brushstroke method placed much value on hiding of brush tip (藏鋒) and the principles of ‘movement inevitably followed by halt (無垂不縮)’ and ‘coordination of the top and the bottom (承上接下).’ The letter closing method put emphasis on harmony of sparseness and denseness (疏密) and untrimmedness (參差). The calligraphic view on 『Pilgam』 classified and examined theory on copying practice with classics, theory on calligraphic font and theory on criticism and the gist is as follows. The copying practice with classics emphasized academic attitude of learning strong points and supplementing weak points (取長補短) along with notions that one should establish a system for Lishu by using Zhuanshu; that for Xingshu by using Kaishu and; that for Caoshu through Caoshu written by Zhangzhi. As demonstrated above, 『Pilgam』 pursued the theory on calligraphic technique based on classical theories for learning calligraphy including one-stroke technique, Eight Principles of Yong and writing method and the calligraphic view of creating new by learning from the past (法古創新) and learning strong points and supplementing weak points (取長補短). Palha’s such calligraphic theory would be a proper guideline for calligraphic researchers as the basis for calligraphic study and creation.

목차

Ⅰ. 서 론
Ⅱ. 팔하의 서법론
Ⅲ. 팔하의 서예관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지훈. (2023).팔하 서석지 『筆鑑』의 서학론 분석. 서예학연구, (), 41-73

MLA

정지훈. "팔하 서석지 『筆鑑』의 서학론 분석." 서예학연구, (2023): 41-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