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중국인문학회
- 저자명
- 전영
- 간행물 정보
- 『중국인문과학 』제72집, 393~40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老舍在1929年英國發表的市民題材小說《二馬》和1933年發表的小說《離婚》中都具有鬧劇的因素,並刻畫了一系列小醜的形象。這兩部作品都以鬧劇特有的深度心理分析,將淺薄與正經,贊揚和自我反省相互融爲一體。並且兩部小說都有作爲小醜形象的新的人物登場,著重刻畫了既浪漫且敏感的青年邊緣人的形象。他們全然不能融入現實世界,既內向且敏感,無法得到周圍人的認可。 有關老舍的研究通常將老舍小說中經常登場的否定形象的人物作爲小醜形象來分析。與此相反,本文將既滑稽且猶豫,以被害者形象出現的《二馬》中的主人公馬威和《離婚》中的老李作爲小醜的典型形象來進行分析。爲此本文首先對老舍初期小說的鬧劇特征進行分析,通過對鬧劇主人公小醜形象的滑稽淒慘的處境來考察老舍對現實社會的暴露和批判。 老舍在悲劇人物的生活中添加了幽默和鬧劇的因素,在其作品中創造出‘悲中帶笑’的豐富獨特的小醜人物形象。兩個人物形象都是老舍自身的投影,並反映出在現實社會中痛苦糾結的心理。最終主人公決定離開的結局表明老舍無法提示出前進的方向,並暴露出他的思想局限性。這也爲讀者揭示出老舍同中國現代知識青年一樣,夾雜在傳統和現代,衰落的鄉村價值觀和日益強大的都市支配的空隙中無法回避的命運。老舍雖然試圖通過自身的文化諷刺和批判在當前的時代環境中找尋發展的途徑,但最終沒有找到變革的方向。另一方面,小说開放式的結尾也可以解釋爲在通過屢次摸索和實踐之後最終达到民族觉醒,试图开启全新的發展空間。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라오서 소설의 익살극적 특징
Ⅲ. 어릿광대 역을 통한 폭로와 비웃음
Ⅳ.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中國人文學會 會則 외
- 중국 新詩의 起源에 관한 고찰
- 고대한어 '今夫, 若夫, 且夫'가 단어인가
- ‘重視’와 ‘輕視’를 의미하는 동사에 관한 연구
- 李時憲의 山水詩와 그의 陶淵明⋅王維隱逸意識영향 관계 연구
- 老舍소설의 어릿광대 형상 고찰
- 중국어‘谚语’에 내포된 객관량(客觀量) 과 주관량(主觀量) 표현 연구
- 秦系文字出土槪況簡述
- “着迷”类离合词偏误研究
- <伯夷列傳>의 “怨邪非邪”와 “是邪非邪”를 통해서 본 行間的脈絡과 重意的層位
- 韓·中古代詩歌에 드러난 “後庭花” 意象硏究
- 論“醜書”在當代中國文化中的不被兼容: 對於“射墨”事件引發的“醜書”批判熱潮的反思
- 현대 중국의 교민정책 변화에 관한 고찰
- 중국 소비시장의 새로운 플랫폼
- 韩中后缀“X师”的语义研究
- 현대중국어 ‘好容易’와 ‘好不容易’에 관한 연구
- ‘영화황제’ 김염(金焰)의 항일영화인 형상*
- 갑골문 수렵복사에 보이는 길짐승 관련 고찰
- 沈从文的“实感经验”与20世纪中国文学的“世界性因素”研究
- 文革时期语言词汇研究的回顾与展望
- <大唐三藏取經詩話>와 雜劇<西遊記> 비교 연구
- 영상도식과 그릇도식을 통한 한ž중 차등 비교문에서의 비교결과 분석
- 옌롄커의 소설 ≪인민을 위해 복무하라≫에 나타난 허위와 실체
- 19、20世紀之交日俄在韓半島角逐分析: 以≪知新報≫的報道為中心
- 茶船古道與六堡茶的历史文化
- 『無門關』에 나타난 ‘將’의 용법 小考
- 宋代 「河圖ž洛書」圖象의 出現과 그 定立過程
- 韓少功소설을 통해 본 예술적 의미로서의 현대성 고찰
- 중국인문과학 제72집 목차
- ≪고시원≫과≪고시기≫,≪채숙당고시선≫, ≪고시상석≫ 선시(選詩) 비교
- 汉语“饭”和韩语“밥”的认知隐喻对比研究
- 以≪雨巷≫谈戴望舒诗歌之意境美
- 언어유형론적 시각에서 본 한국어“NP+AP+V” 중간 구문과 중국어“NP+V起来+AP” 중간 구문
- 遊牧文化的觀點에서 본 傀儡子의 發生과 傳播經路試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