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능엄경』과 유불회통

이용수 28

영문명
The Śūrańgama-sūtra (楞嚴經) and the Korean Convergencial Universal Mind Theory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박정원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74호, 57~8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능엄경』이 조선 초-중기 유불지식인들 모두에게 널리 읽히고중시되었던 현상을 주목하고 그것을 유불회통의 핵심 내용과 관련지어 철학적으로이해하는 데에 있다. 이와 관련하여 2가지 의문이 제기된다. 첫째, 유교인들이 『능엄경』을 통해 어떤 내용을 수용하였으며 그 내용이 불교비판이라는 당시의 통념과는어떻게 구분되는가? 둘째, 이 시기의 유불회통의 내용과 관련하여 계환의 『능엄경』 주석이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가? 조선 초-중기 유교지식인들은『능엄경』을 ‘신앙’으로 수용한 것 이상으로 학문적 탐구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그들은『능엄경』을 주로 『주역』이나 『중용』과 비교하여 분석하고 있는데 불교인들도 유교의 심성 논의의 핵심 내용을『능엄경』의 관점에 비추어 이해하고 있다. 『능엄경』에서 묘정명심은 생멸심을 일으키는 근원이 되는 불생불멸의 깨달음의 성품, 즉 아뢰야식 내지 진여심이다. 이 심은 인간과 세계를 만들어내는 우주심이어서 존재하지 않는 곳이 없지만 이 각성의 총체를 깨닫지못하기 때문에 ‘두 가지 장애’에 얽매이게 된다. 그러므로 『능엄경』에서 강조하는공부는 묘정명심을 시작부터 끝까지 ‘동일한 내용’으로 삼아 장애를 풀어나가는 ‘법공’의 과정이다. 조선 초-중기 유교인들은 성과 정을 총괄하는 심인 ‘심통성정’ 논의를 전개하면서 심이 만물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근본적인 지위를 갖는다고 보았다. 그들은 우주 만물의 생성의 근원인 태극의 지위, 그리고 공부의 출발과 궁극 표준이 되는 심의지각활동인 ‘미발지각’의 존재를 통찰한다. 이러한 유교인들의 심성 논의의 심화는그들로 하여금 ‘작용시성’의 불교는 경계하면서도『 능엄경』의 묘정명심은 수용하고 회통하게 했다. 이 과정에서 계환의 주석에 담긴 ‘유식-여래장’적 관점은 두 가지장애를 번뇌장과 소지장으로 구체화하고, 장애를 풀어가는 공부 과정을 유교의 미발함양 공부와 회통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the fact that many Confucianists had read and studied the Śūrańgama-sūtra (楞嚴經) during the early-middle Joseon dynasty for the view of the Korean Convergencial Universal One Mind Theory between Buddhism and Neo-Confucianism. I will mainly discuss two questions. Firstly, which points in the text’s teachings do Confucianists agree with and why? Secondly, what role did Gyewhan’s commentary play along the way? Joseon Buddhist priests and Confucianist scholars approached the Sutra not only through naive faith, but also as a philosophical academic text. The Śūrańgama-sūtr a helped opponents understand each other’s texts. The Concept of “spiritually pure bright mind” (妙淨明心) in the Sutra is truly the ultimate reality, which can generate all kinds of universal things. However, we cannot easily perceive this mind’s existe nce, so we usually have two obstructions—both affective and cognitive. Therefore the discipline of the Śūrańgama-sūtra is untying those obstructions to the light of the real mind. Numerous Confucianists developed arguments based on the Sutra’s teachings to clarify or develop their own Universal Mind Theory during the early-middle Joseon dynasty, despite the national policy of suppressing Buddhism. They recognized mind as the ultimate entity (太極, taegeuk) or the transcendental leading spiritual activity (未發知覺, mibaljigak). Although the Confucianists criticized some assertionsof Zen Buddhism, they basically accepted the Sutra’s ontology and discipline. Furthermore, Gyewhan’s commentary helped Buddhist priests and Confucian scholar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n obstruction to arising caused by misassumptions regarding the nature of reality.

목차

I. 시작하는 말
II. 조선 초-중기 유불지식인의 『능엄경』애독현상
III. 『능엄경』에서의 심의 존재론적 해명
IV. 유불회통의 내용과 계환 주석의 역할
V.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정원. (2023).『능엄경』과 유불회통. 불교학연구, (), 57-80

MLA

박정원. "『능엄경』과 유불회통." 불교학연구, (2023): 57-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