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印度的民族主义和中国-巴基斯坦关系
이용수 42
- 영문명
- India's Nationalism and China-Pakistan Relationship: Centered on the Modi Government
- 발행기관
- 한국국회학회
- 저자명
- 두보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세계』제5권 2호, 275~29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莫迪于2014年就任印度总理,并在2019年成功连任。莫迪政府为了维护印度人民党的利益和印度教族群的民族利益,采取了一系列推动印度教民族主义思潮的激进政策。这些政策导致印度教民族主义思潮旺盛,同时也导致与其它族群的矛盾迅速激化,并最终使得印度境内充斥着各民族的民族主义情绪。莫迪政府为了转移国民视线并分流民族主义的能量,对周边国家采取了攻击性的外交举措。这些攻击性外交包括两次以中国为攻击目标,分别在洞朗和加勒万河谷地区挑起边境冲突;而对巴基斯坦,则有关闭两国对话渠道,越过印巴控制线进行空袭,并取消印控克什米尔的自治地位等等。莫迪政府实现了把国内宗教民族主义思潮向中巴等国的攻击性外交的转化,但是也给印度的周边外交环境带来了巨大的影响,尤其是与中国和巴基斯坦的关系产生了显著变化。莫迪政府使得印度分别和中国、巴基斯坦这两个国家的关系倒退,印度和两国的对立和排斥情绪上升;印度民族主义打破了地缘政治局势的脆弱平衡,给南亚地区的和平和发展埋下了隐患;同时,中巴两国在对印反制的过程中加深合作,形成了更为紧密的伙伴关系。
영문 초록
Modi took office as India’s Prime Minister in 2014, and started second term in 2019. In order to safeguard the party interests of the Bharatiya Janata Party(BJP) and the Hindu ethnic groups, Modi administration adopted radical policies to promote Hindu nationalism. These policies led to strong Hindu nationalism, rapidly intensified conflicts with other ethnic groups, and eventually filled India with the sentiment of all ethnic groups. In order to divert the national attention and the energy of nationalism, the Modi administration took aggressive diplomatic measures against the neighboring countries. The Modi administration realized the transformation of domestic religious nationalism into the aggressive diplomacy in China, Pakistan and other countries, but it brought a great impact on India's surrounding diplomatic environment, especially led to significant influence to the relations between China and Pakistan. The Modi administration reversed relations of India-China and India-Pakistan respectively, increased opposition and exclusion between India and these two countries; Indian nationalism broke the fragile balance of the geopolitical situation and posed a danger to peace and development in South Asia, meanwhile China and Pakistan developed a closer partnership.
목차
I. 前言
II. 有关民族主义的学界综述
III. 莫迪政府是如何把民族主义的矛头引向中巴两国的?
IV. 莫迪政府民族主义性质举措对中巴两国关系的影响
V. 结论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의 민주주의 위기와 대안으로서의 지방분권
- 유튜브와 민주주의
- 5・18 광주민주화운동 위기의식과 글로벌코리안 연대 활동 고찰
- 한국 정치의 양극화 현상과 민주주의
- 영어판과 러시아어판 유튜브 동영상을 통해 본 상트페테르부르크 도시이미지 비교연구
- 예비노인세대의 가족관계와 고용차별의 관계에서 연령주의의 매개효과 검증
- 지방소멸 시대, 사회적 자본과 지역공동체
- 요양병원 종사자들의 웰다잉 경험과 의미
- 국내 방산업체의 글로벌 부품공급망 진입 방안
- 표제음악의 융합과 변용
- 관광의 정치적 이용에 관한 연구
- 印度的民族主义和中国-巴基斯坦关系
- 북한의 무인기 위협과 한국의 대응
- 한국과 세계 제5권 2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