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표제음악의 융합과 변용
이용수 79
- 영문명
- Convergence and Transformation of Program Music: Focusing on Transmedia Storytelling Techniques
- 발행기관
- 한국국회학회
- 저자명
- 박은희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세계』제5권 2호, 255~27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9세기 표제음악의 융합과 변용을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라는 현대 문화적 양상과 비교하여 19세기의 표제음악이 현대의 디지털적 커버전스 문화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표제음악은 융합과 변용을 통한 다양한 청중과의 소통과 음악의 대중화 시도라는 점에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과 유사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 사례로써 표제음악 중 드뷔시의 ‘바다(La Mer)’, 리스트의 3개의 피아노 녹턴과 ‘파우스트 교향곡’을 선곡하여 분석한 결과, 드뷔시의 ‘바다(La Mer)’는 회화, 음악 및 문학 등의 각각의 콘텐츠를 가지면서 동일 목표를 가지는 하나의 세계관을 구성하고 있다. 3개의 피아노 녹턴은 시와 예술가곡 그리고 피아노 곡 등의 다양한 콘텐츠가 독립적으로 확산하면서 하나의 통일된 세계관을 이루고 있으며, 파우스트 교향곡은 악장별로 다른 캐릭터의 스토리를 표현하면서 하나의 캐릭터인 파우스트로 통합되었음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모두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대표적 특징이다. 따라서 장르적, 시공간적 한계를 뛰어넘으려는 문화적 시도는 19세기 표제음악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오랜 역사적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향후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뛰어넘는 다양한 상상력이 발휘되는 새로운 문화기획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 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fu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19th century title music with the modern cultural aspect of 'transmedia storytelling' to confirm whether the title music in the 19th century has similar characteristics to the modern digital covert culture. Title music has a similar purpose to transmedia storytelling in that it is an attempt to popularize music and communicate with various audiences through convergence and transformation. As a specific example, as a result of selecting and analyzing Debussy's 'La Mer', Liszt's three piano Nocturnes and 'Faust Symphony' among the title music, Debussy's 'La Mer' is well suited to painting, music and literature. It has each content of and constitutes a worldview with the same goal, and the three piano nocturnes form a unified worldview by independently spreading various contents such as poetry, art songs, and piano songs, and Faust It was found that the symphony was integrated into a single character, Faust, while expressing the story of a different character for each movement, and these components are all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transmedia storytelling. Therefore, cultural attempts to overcome the limits of genre and time and space have a long historical tradition dating back to the 19th century title music, and it is considered that new cultural planning that goes beyond transmedia storytelling and demonstrates various imaginations will be possible in the future.
목차
I. 들어가는 글
II. 표제음악의 융합과 변용
III. 표제음악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IV.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의 민주주의 위기와 대안으로서의 지방분권
- 유튜브와 민주주의
- 5・18 광주민주화운동 위기의식과 글로벌코리안 연대 활동 고찰
- 한국 정치의 양극화 현상과 민주주의
- 영어판과 러시아어판 유튜브 동영상을 통해 본 상트페테르부르크 도시이미지 비교연구
- 예비노인세대의 가족관계와 고용차별의 관계에서 연령주의의 매개효과 검증
- 지방소멸 시대, 사회적 자본과 지역공동체
- 요양병원 종사자들의 웰다잉 경험과 의미
- 국내 방산업체의 글로벌 부품공급망 진입 방안
- 표제음악의 융합과 변용
- 관광의 정치적 이용에 관한 연구
- 印度的民族主义和中国-巴基斯坦关系
- 북한의 무인기 위협과 한국의 대응
- 한국과 세계 제5권 2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