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대 근동 복식에 나타난 선(襈) 연구 -고대 유물을 중심으로-
이용수 9
- 영문명
- A Study on the Hem on the Costume of Ancient Near East -Focusing on the Ancient Antiquities-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장영수(Chang, Youngsoo)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20 No.1, 65~7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선(襈)은 의복의 가장자리 즉 깃, 소매, 섶, 밑단에 천을덧댄 것을 말한다. 이는 옷의 가장자리에 올이 풀리는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용적인 목적과 아울러 선에 무늬를 넣어 장식적인 효과나 또한 악령이나 질병으로부터착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주술적인 목적으로도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본 연구는 복식에 나타나는 선이언제부터 나타났는가를 규명하기 위하여 고대 근동의 유물을 중심으로 복식에 나타나는 선을 관찰하며 고대 근동의 복식문화를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유럽에서 고대 근동의 유물들을 전시한 전시 카탈로그와 문헌을 수집하여 전시카탈로그 중에서 2차 자료인 유물 사진들을 44점 선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고대 근동에서는 기원전 3000년경의 유물에서부터 옷 끝 단과 밑단, 소매 등에 선(襈)이 관찰되었다. 선에는 단순선과 단순선을 술 장식과 결합한 형태 등이 있었다. 단순선은 신, 왕등의 신분이 높은 계층에서 나타났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일반 평민들의 복식에도 나타나 선(襈)이보편화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선이 보편화 되면서 신분이 높은 계층에서는 문양을 넣어 선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며 신분을 구별하는 용도로 사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외에도 화려한 문양이 있는 선은 동물의 사육사나, 힘을 사용하는 계층에서 관찰되었는데 이는 선이 신분을구별하는 용도이외에 주술적인 용도로도 사용되었다고추측되었다. 단순선에 술장식이 첨가된 형태는 훨씬 늦은 시기인 기원전 13세기에 나타났으며 신분에 따라 선의 문양과 술장식 등이 화려하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hem refers to attaching pieces to the edges of clothing - collars, sleeves, opening, and under edge. The hem was used for practical purposes to prevent loosening of clothing on the edge of the garment, and it was also used as decorative elements by putting a pattern. It is also believed to have been used for magical purposes to protect the wearer from evil spirits and dise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ppearance of the hem in the costume culture of the Ancient Near East by observing the costumes expressed in the relics of the ancient Near Eastern costumes. As a research method, we collected 44 images of artifacts as secondary data in the literature and the exhibition catalog exhibiting ancient relics of the ancient Near East.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ancient Near East, there are two types of hems- the simple hem and the simple hem combined with a tassel.
From the relics dating back to 3000 BC, it appeared early in the class of the gods and kings, and over time, it became usual to the commoners' costumes. As the hem became more common, it became more complicated and more distinguished by putting the pattern in the higher class. In addition to this, those hems, which had a brilliant pattern, were observed on the clothes of animal breeders or in the class that used force, and it is presumed that it was also used as a magical use in addition to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the classes. The shape of the simple hem with a tassel appeared at a much later stag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관계획시 생태적 원칙의 적용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맥하그와 포먼의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 의류 및 디자인과 관련된 대중의 질문 조사
- 한국 여성의 외모자신감과 패션 힐링에 관한 연구
- 세 흑인 여성의 삶, <히든 피겨스>
- 남성 소비자 특성이 패션/뷰티 TV 미디어 이용에 미치는 영향
- 요트 탑승자의 개인보호 장비 보유 및 사용 현황
- 고대 근동 복식에 나타난 선(襈) 연구 -고대 유물을 중심으로-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20 No.1 목차
-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특성에 대한 비판적 분석
- 지적 영화 체계에서 본 왕가위의 영화 분석 연구 -왕가위 영화<중경삼림(重庆森林)(1994)>을 중심으로-
-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의 특성이 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뷰티 로드샵을 중심으로╶
- 현대패션에 나타난 위트에 관한 연구 ╶ 제레미 스캇(Jeremy Scott)과 모스키노(Moschino) 컬렉션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 여가경험이 일상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의 뉴미디어 기기 이용을 중심으로 -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웹툰 제작 플랫폼을 활용한 청소년 창작교육 방안 연구
-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의 실효성 강화와 1급 제도의 도입: 지역사회 인구소멸 대응을 위한 문화예술 활동의 역할
- 문화 다양성 기반 지역 문화 예술 활동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