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여성의 외모자신감과 패션 힐링에 관한 연구
이용수 16
- 영문명
- A Study on Self-esteem on Their Appearance and the Fashion Healing in Korean Women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김칠순(Kim, Chil Soon) 전유진(Jeon, Yoo Jin)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20 No.1, 52~58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미모에 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외모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사고가 생기게 되었다. 만약에 외모자신감이 없는 경우 이로부터 오는 스트레스를 치료해줄 방안으로서 패션 스타일링을 통하여 자신감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여성의외모에 관한 자신감 정도를 측정하고 패션 스타일링에의한 힐링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외모자신감에 따른 선호이미지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효과적인 스타일링에 관한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설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편의 샘플링을 통하여20대 여성들에게 설문을 하였고 그 결과를 SPSS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K 평균군집분석, t 검정 등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외모 자신감이 큰 경우패션 스타일링에 의한 힐링 효과가 크며, 전문 패션 스타일리스트를 필요로 하는 경우는 외모자신감이 낮은 그룹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고급스러운, 화려한, 섹시한 이미지의 선호도는 외모자신감의 정도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패션 스타일리스의 역할이 향후 마케팅 서비스전략에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As the concern for the beauty has been increased, people think their appearance positively or negatively. If someone who have a low self esteem, there is need to enhance self-esteem by healing therapy. We assume that fashion styling experience may help to heal emotional stress by the appeara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Korean women’s self esteem about the appearance and the beauty, and was to examine healing effect by fashion styling application. This study was to measure preferred fashion images as well. The surveys were conducted by questionnaires. We obtained data from females aged 20’s by convenience sampling.
Data were analysed by SPSS statistical package.
Frequency test, factor analysis, K means cluster analysis, and t test were conducted. As a result, we realized that the higher self-esteem on their appearance, the higher fashion healing effect. Those who have low self-esteem responded that they need professional stylist in the purchase of clothing items. There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avored images such as luxury, brilliant, and sexy image, according to the degree of self esteem on their appearance. These findings might be signal to present the stylist’s role in marketing strateg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관계획시 생태적 원칙의 적용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맥하그와 포먼의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 의류 및 디자인과 관련된 대중의 질문 조사
- 한국 여성의 외모자신감과 패션 힐링에 관한 연구
- 세 흑인 여성의 삶, <히든 피겨스>
- 남성 소비자 특성이 패션/뷰티 TV 미디어 이용에 미치는 영향
- 요트 탑승자의 개인보호 장비 보유 및 사용 현황
- 고대 근동 복식에 나타난 선(襈) 연구 -고대 유물을 중심으로-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20 No.1 목차
-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특성에 대한 비판적 분석
- 지적 영화 체계에서 본 왕가위의 영화 분석 연구 -왕가위 영화<중경삼림(重庆森林)(1994)>을 중심으로-
-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의 특성이 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뷰티 로드샵을 중심으로╶
- 현대패션에 나타난 위트에 관한 연구 ╶ 제레미 스캇(Jeremy Scott)과 모스키노(Moschino) 컬렉션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 여가경험이 일상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의 뉴미디어 기기 이용을 중심으로 -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웹툰 제작 플랫폼을 활용한 청소년 창작교육 방안 연구
-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의 실효성 강화와 1급 제도의 도입: 지역사회 인구소멸 대응을 위한 문화예술 활동의 역할
- 문화 다양성 기반 지역 문화 예술 활동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