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세 흑인 여성의 삶, <히든 피겨스>
이용수 128
- 영문명
- The Lives of Three Black Women,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한상언(Han, Sang Un) 임소진(Lim, So Jin)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20 No.1, 16~20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데오도르 멜피 감독의 <히든 피겨스(Hidden Figures)>는여성과 유색인에 대한 차별이 극심하던 시기인 1960년대미국의 NASA를 배경으로 한다. 영화는 할리우드 내러티브 구조에서 흔치 않은 가부장제 사회 속 세 흑인 여성의 영웅담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평단과 대중의 찬사를받았다. <히든 피겨스>는 세 흑인 여성을 주체성을 가진존재이자 영웅으로 묘사한다는 점에서 타자의 영화·페미니즘 영화와 그 맥을 같이한다. 하지만 세 여성이 모두비범한 능력을 지닌 영웅으로 묘사되고 그 영웅적 능력을 통해 차별에서 벗어난다는 점에서 극장 안에서만의해결을 제시한다는 한계를 지닌다. 본 고에서는 타자의영화와 페미니즘을 통해 <히든 피겨스>의 내러티브와인물 묘사가 동시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인 <더 헬프>와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 그 안에 존재하는 한계점을 살펴 볼 것이다.
영문 초록
Hidden Figures, directed by Theodore Melfi, received honorable mention from both critics and the public and also did well at the box office. It became possible because it contains heroic epic of three black women which isn’t ordinary in Hollywood narrative especially when the background of the story is based on patriarchal society.
The story flows on the set of 1960s NASA’s manned spacecraft project when the racial discrimination reached its climax. Hidden Figures shares the same ideas with feminism and film of others in terms of their topics and how they describes characters. But at the same time it also have limitations about its description of characters which is extraordinarily outstanding. This article will look at the narrative structure of Hidden Figures through the film of others and Feminism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Hidden Figures and The Help which shares same time period. Then examine the existing limitations of the film.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관계획시 생태적 원칙의 적용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맥하그와 포먼의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 의류 및 디자인과 관련된 대중의 질문 조사
- 한국 여성의 외모자신감과 패션 힐링에 관한 연구
- 세 흑인 여성의 삶, <히든 피겨스>
- 남성 소비자 특성이 패션/뷰티 TV 미디어 이용에 미치는 영향
- 요트 탑승자의 개인보호 장비 보유 및 사용 현황
- 고대 근동 복식에 나타난 선(襈) 연구 -고대 유물을 중심으로-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20 No.1 목차
-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특성에 대한 비판적 분석
- 지적 영화 체계에서 본 왕가위의 영화 분석 연구 -왕가위 영화<중경삼림(重庆森林)(1994)>을 중심으로-
-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의 특성이 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뷰티 로드샵을 중심으로╶
- 현대패션에 나타난 위트에 관한 연구 ╶ 제레미 스캇(Jeremy Scott)과 모스키노(Moschino) 컬렉션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 여가경험이 일상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의 뉴미디어 기기 이용을 중심으로 -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웹툰 제작 플랫폼을 활용한 청소년 창작교육 방안 연구
-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의 실효성 강화와 1급 제도의 도입: 지역사회 인구소멸 대응을 위한 문화예술 활동의 역할
- 문화 다양성 기반 지역 문화 예술 활동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