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사의 미래 핵심역량으로서 소통역량에 대한 중등 예비교사의 요구분석

이용수 106

영문명
The Needs Analysis of Pre-secondary Teachers for Communication Competency as a Core Competency of Teachers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김미호 이주영 김현지
간행물 정보
『교육문제연구』第83輯, 53~8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5.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사의 핵심역량으로서 필요한 소통역량이 무엇인지 예비 중등교사의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 P대학의 교직과목 수강생 159명을 대상으로 사회적・도구적・창조적 소통의 세 범주와 일곱 개의 소통 하위역량(이해・표현・태도・디지털 리터러시・정보데이터 리터러시・협업집단지성・혁신)에 해당하는 총 21문항에 대한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요구분석을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중요도와 현재 보유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통해 소통 하위역량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전체 분석 결과, 모든 문항에서 필요수준과 현재수준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Borich 요구도와 LF모델을 비교하여 도출한 최우선 순위 역량은 ‘이해 역량’과 ‘정보 및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이었다. 계열별로는 인문사회 계열과 예체능 계열은 정보・데이터 리터러시 역량, 이공계열은 혁신역량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예비교사 양성 기관에서의 교육과정 및 교육 프로그램에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eds of preliminary secondary school teachers to find out what communication competency are necessary as the core competencie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To this end, 159 students in the teaching course of Busan P University were surveyed on a total of 21 questions corresponding to three categories of social, instrumental, and creative communication and seven sub-competencies (understanding, expression, attitude, digital literacy, information data literacy, collaboration, and innovation). For demand analysis,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current retention was analyzed through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and the priority of communication subcapabilities was derived through Borich demand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s a result of the overall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quired level and the current level in all questions, and the top priority competencies derived by comparing the Borich demand and the LF model were ‘understanding competency’ and ‘information and data literacy competency’. By department,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departments and arts and sports departments had the highest demands for information and data literacy competency, and science and engineering departments had the highest demands for innovation competency.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and educational programs in future teacher training institutes.

목차

Ⅰ. 서 론
Ⅱ. 중등교사 핵심역량으로서 소통역량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호,이주영,김현지. (2022).교사의 미래 핵심역량으로서 소통역량에 대한 중등 예비교사의 요구분석. 교육문제연구, (), 53-83

MLA

김미호,이주영,김현지. "교사의 미래 핵심역량으로서 소통역량에 대한 중등 예비교사의 요구분석." 교육문제연구, (2022): 53-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