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의 절망사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100
-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eaths of Despair in Korea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 저자명
- 권진 민혜영 강선경
- 간행물 정보
- 『생명연구』제67집, 93~11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미국에서 시작된 절망사 개념에 대한 경험적, 이론적 논의의 전반을 소개하고, 이를 한국 사회에 적용하여 살펴본 탐색적 연구이다. 절망사라는 다소 생소하지만 이미 장기간에 걸쳐 누적적으로 영향을 미쳐온 것으로 보이는 개념에 대하여 한국적인 맥락으로 적용하여 살펴보는 것은 중요하고 시급한 문제이다. 절망사라는 개념의 도출과 관련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고, 미국과 유럽에서 이루어진 절망사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사회경제적인 변화가 누적적인 박탈로 이어지고 비건강적인 행태로 나타난다는 주장에 대해 많은 학자들이 동의하고 있었다. 한편 독일과 같은 국가는 미국에 비해 안정적인 사회보장제도로 인하여 절망사의 양상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중요한 발견이 있었다. 한국의 사망원인통계 자료나 사회조사 자료를 토대로 지난 10년간의 절망사 추이를 살펴보면 자살, 음주, 약물로 인한 사망의 비율은 전체 사망자 데이터 중 12.4%에 달하였다. 위험음주나 자살충동에 대해서는 감소추세에 있었으나 사회적 고립감과 전반적인 삶의 여건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응답이 높아지고 있었다. 이러한 실증 분석을 토대로 절망사와 관련된 한국사회에 대한 진단과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that introduced the overall empirical and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concept of despair that began in the United States, and applied them to Korean society. It is important and urgent to apply the concept of hopeless death in a Korean context to the concept that seems to have accumulated influence over a long period of time, although it is somewhat unfamilia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derivation of the concept of despair and previous studies on despair conducted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many scholars agreed that socioeconomic changes lead to cumulative deprivation and unhealthy behavior.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n important discovery in that countries such as Germany did not have a pattern of despair due to a stable social security system compared to the United States. Based on statistics on the cause of death or social survey data in Korea, the rate of suicide, drinking, and drug deaths over the past decade reached 12.4% of the total death data. Dangerous drinking and suicidal thoughts were on the decline, but negative responses to social isolation and overall life conditions were increasing. Based on this empirical analysis, diagnosis and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n society related to despair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절망사와 한국 사회
Ⅳ. 한국의 절망사 실태 분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휴머니즘은 여전히 유효한가?휴머니즘, 안티휴머니즘, 포스트휴머니즘에 관한 소고
- 회복적 정의 관점으로 살펴본 사회복지시설종사자 인권침해 결정례 분석
- 신의 케노시스와 자연의 창조
- 한국의 절망사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정신장애인들의 문화예술 및 유튜브 크리에이터 활동 참여와 회복 경험
- 마약류중독자의 치료보호제도 이용에 대한 결정요인
- 이주민의 문화 적응과 우울, 조절자로서 차별과 차별의 진원을 통한 탐색
- 아동기의 학대 경험이 청소년기의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요양보호사 인권 침해 경험 연구
-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의 참여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Really, Is it just “Backwards”?—Reevaluating Adorno's Multifaceted Analysis of Stravinsky
- Artistic Innovation:The Construction of Virtual Spaces in 2D Fantasy Films
-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Landscape Installation of New Media Art in Qingdao Urban Public Spac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