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방안전관리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시나리오 개발에 관한 연구
이용수 298
- 영문명
- The Scenarios to Improve Job Competence of Fire Safety Managers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최유정 최수길 김시국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7 No.1, 148~156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소방안전관리자의 실질적인 화재대응능력 증진을 위한 시나리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시나리오개발은 실제 화재 상황 시 발생할 수 있는 요소를 바탕으로 개정된 교육과목과 연계하여 화재초기인지부터 전파,재실자 피난유도, 연소특성을 고려한 소화기 사용 및 옥내(외)소화전 사용, 방호안전, 소방차량 유도 및 경찰 인수인계 단계까지 적용하였다. 시나리오는 소방안전관리자를 관점으로 하여 화재시 대응해야 하는 절차를 나타낸 것이며총 7단계로 구성하였으며, 7단계의 상세 내용은 화재발생, 화재경보단계, 초기소화 단계, 피난유도 단계, 소방시설작동 및 조치 단계, 방호조치 및 응급처치, 소방대 유도 및 협업이다. 개발한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소방안전관리자강습교육 및 실무교육을 진행함으로써 위험 상황에서 신속한 의사결정 및 동일 상황 반복훈련에 따른 다양한 상황대비 의사결정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design a scenario to improve a fire safety manager's actual fire response-ability based onelements that may occur in actual fire situations. The scenario was linked with revised educational subjects, starting withfire recognition, propagation, occupant evacuation guidance, use of fire extinguishers and indoor (outdoor) fire hydrantsconsidering combustion characteristics, and protection safety. Finally, it covered fire brigade induction and police handover. The scenario demonstrates the procedures to respond to fire from the fire safety manager's perspective and includes sevenstages. These are fire outbreaks, fire situation propagation, initial fire extinguishing, evacuation guidance, firefighting facilityoperation and action, protective measures and first aid, fire brigade guidance, and collaboration. The study concluded thatit would be helpful to improve the fire safety manager's decision-making ability to respond to critical situations and preparefor recurring diverse situations by developing scenarios by utilizing fire safety manager instructional and practical training.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시나리오 개발
4. 결론
후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형 칼로리미터의 열 방출률 평가를 위한 FDS 해석결과 분석
- 화재실과 경사 공간 사이에 위치하는 개구부에서 경사 공간을 고려한유량계수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 대형 조선소 내 자동화재탐지설비 종류별 오작동 사례 수집 및 시험분석을통한 비화재보 원인 분석
- 실시간 원격 제어 및 점검이 가능한 IoT와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거실제연시스템에 관한 연구
- DiSC 성격유형이 사전대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소방안전관리자의 교육훈련 시스템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
- SMC 소화수조의 지진안전성 설계 시 구조해석에 의한 체크리스트 적정성 연구
- 개방 및 구획화재 환경에서 목재 가연물의최대 열방출률에 대한 정량적 비교
- 단락흔의 형성 메커니즘 분석
- 전산모사를 활용한 화학 테러 가스와 훈련용 대체 가스의 유동 특성 분석
- 에폭시수지의 위험성에 관한 연구
- 국내 화재현장 사례 분석을 통한 산업시설 가설건축물의 화재 예방 방법론 제안
- 계량정보학적 분석을 통한 소방안전분야 연구동향
- 비화재보 방지를 위한 일산화탄소 센서 적용에 관한 연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7 No.1 목차
- 피난구유도등의 표시면 색상별 유효인지거리 평가
- 소방안전관리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시나리오 개발에 관한 연구
- 사각채널 내 수소-공기 혼합기의 DDT에 대한 RANS 기반 수치해석 연구
- 열 및 연기확산을 예측하기 위한 CFAST의 설정 방안에 관한 연구
- 전기자동차 화재사고 대응능력 강화를 위한 교육효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제39권 제1호 목차
- A* 알고리즘 기반의 F_A* 알고리즘을 활용한 화재 시 대피 경로 탐색 연구
- RSSI와 삼변측량법을 이용한 화학구조대 훈련자의 위치정보 측정 실험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