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형 칼로리미터의 열 방출률 평가를 위한 FDS 해석결과 분석
이용수 66
- 영문명
- Investigating the Heat Release Rate of Large-scale Calorimeter using FDS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유우준 박정욱 김정용 김태중 황철홍 김성찬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7 No.1, 37~42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화재해석 프로그램인 FDS를 사용하여 대형 칼로리미터의 주요 설계 인자를 도출하고 해석 결과의 정확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국내의 대형 칼로리미터 설계 제원을 조사하여 모델링 및 입력 조건을선정하였으며, 헵탄 화원 직경이 1.1 m, 1.24 m 그리고 1.44 m인 각각의 경우에 대해서 덕트 내부에서의 온도와 질량유량 그리고 산소농도 감소량을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해석 결과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실험값과 동일한열 방출률에 대해서 덕트 내부에서 해석한 온도 편차는 19.12%, 질량유량 11.86%, 그리고 산소 농도 감소량은 0.22%정도 측정값과 편차가 발생하였다. 그 결과 헵탄의 화원 직경 변화에 따라서 산소소모지수법을 적용한 열 방출률FDS 해석 결과는 실험값과 최대 2.58% 이내에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산소농도 해석 결과는 동일 열방출률에 대해서 질량유량의 편차가 증가하였기 때문에 감소한 결과로 보다 정확한 해석을 위해서는 덕트에서의 열손실과 형상인자를 고려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key design factors of a large-scale calorimeter and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simulationresults using the Fire Dynamics Simulator (FDS) program. The design specifications of a domestic large-scale calorimeter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modeling and input conditions for the simulation. The simulation results of temperature,mass flow rate, and oxygen concentration reduction inside the duct we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heptanepool fires with diameters of 1.1 m, 1.24 m, and 1.44 m, respectively. To validate the accuracy of the simulation results,the deviations, calculated using FDS for the heat release rate as the experimental value, were found to be 19.12%, 11.86%,and 0.22% for temperature, mass flow rate, and oxygen concentration, respectively. Ultimately, the results of the heatrelease rate inside the duct obtained by the oxygen consumption method with FDS were found to be consistent with theexperimental value, within 2.58%. However, the deviation of oxygen concentration is reduced as the deviation of mass flowrate increases for a constant heat release rate. This implies that for more accurate analysis, the heat loss and shape factorsin the duct should be considered.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후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형 칼로리미터의 열 방출률 평가를 위한 FDS 해석결과 분석
- 화재실과 경사 공간 사이에 위치하는 개구부에서 경사 공간을 고려한유량계수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 대형 조선소 내 자동화재탐지설비 종류별 오작동 사례 수집 및 시험분석을통한 비화재보 원인 분석
- 실시간 원격 제어 및 점검이 가능한 IoT와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거실제연시스템에 관한 연구
- DiSC 성격유형이 사전대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소방안전관리자의 교육훈련 시스템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
- SMC 소화수조의 지진안전성 설계 시 구조해석에 의한 체크리스트 적정성 연구
- 개방 및 구획화재 환경에서 목재 가연물의최대 열방출률에 대한 정량적 비교
- 단락흔의 형성 메커니즘 분석
- 전산모사를 활용한 화학 테러 가스와 훈련용 대체 가스의 유동 특성 분석
- 에폭시수지의 위험성에 관한 연구
- 국내 화재현장 사례 분석을 통한 산업시설 가설건축물의 화재 예방 방법론 제안
- 계량정보학적 분석을 통한 소방안전분야 연구동향
- 비화재보 방지를 위한 일산화탄소 센서 적용에 관한 연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7 No.1 목차
- 피난구유도등의 표시면 색상별 유효인지거리 평가
- 소방안전관리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시나리오 개발에 관한 연구
- 사각채널 내 수소-공기 혼합기의 DDT에 대한 RANS 기반 수치해석 연구
- 열 및 연기확산을 예측하기 위한 CFAST의 설정 방안에 관한 연구
- 전기자동차 화재사고 대응능력 강화를 위한 교육효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제39권 제1호 목차
- A* 알고리즘 기반의 F_A* 알고리즘을 활용한 화재 시 대피 경로 탐색 연구
- RSSI와 삼변측량법을 이용한 화학구조대 훈련자의 위치정보 측정 실험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