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후기 의병장 鄭文孚의 기억 양상

이용수 52

영문명
Memory Patterns of Jeong, Moon-Boo as a Righteous Army Command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발행기관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저자명
김강식
간행물 정보
『이순신연구논총』제37호, 309~347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국난 임진왜란을 극복하는 데 기여했던 정문부(鄭文孚)는 관북 지방 의병장으로서 여러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이에 임진왜란 극복을 위해서 많은 공적을 세운 대표적인 인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조선후기에 의병장 정문부를 기억하는 모습을 붕당정치의 전개 속에서 살펴보았다. 임진왜란 직후 붕당정치 성립기에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성리학 질서의 재확립과 실천이 시급한 문제였다. 이에 선조와 광해군 대에는 공신을 책훈하고 전쟁에서 활동하다 희생된 인물들에 대해 정리하였다. 의병장으로서 두드러진 활약을 펼쳐서 관북 지방을 지켜낸 정문부는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1등에 올랐으며, 병조참판(兵曹參判) 등의 관직을 추증받았다. 본격적으로 붕당정치가 전개된 인조 이후에는 임진왜란 중에 성리학의 이념을 실천한 인물과 사례에 대한 발굴 작업을 통해서 지역사회에서 붕당의 기반을 다지고, 나아가 중앙정치에서 다른 붕당에 비해서 우위에 서려고 하였다. 임진왜란 이후 이괄의 난에 연루되었던 정문부는 이원익(李元翼)의 추천으로 기복(起復)되었다. 정문부를 기리는 종성의 창렬사(彰烈祠)와 경성의 현충사(顯忠祠)가 창건되었다. 현종 때에는 창렬사에 사액(賜額)이 내렸다. 숙종 때 충의(忠毅)란 시호를 받았으며, 초간본 『농포집(農圃集)』이 간행되었다. 북평사 최창대(崔昌大)가 북관대첩비(北關大捷碑)를 건립하였으며, 17세기 말~18세기 말에 창의토왜도(倡義討倭圖)가 그려졌다. 이때 집권 세력 서인 계열의 민정중(閔鼎重)의 활동이 주목되는데, 이는 앞서 북평사를 역임한 서인 이식(李植)의 노력을 이은 것이다. 임진왜란에 대한 전쟁의 기억이 희미해지고, 붕당정치가 폐해를 드러내면서 탕평정치와 세도정치가 전개되자, 임진왜란의 기억을 발굴하거나 재생하여 지역사회에서 사회적 기반을 구축하고, 나아가 중앙정치에 다시 진출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려는 노력이 전개되었다. 정문부는 정조 때 충신으로 정표(旌表)되었으며, 부조(不祧)의 은전을 받았다. 또 임진왜란 때 북도에서 순절했지만, 아직 사당에 배향되지 못한 인물들을 추가 배향하는 과정에서 정문부에 대한 기억도 재생되었다. 정문부는 부령의 창암사(靑巖祠)에 배향되었다. 철종 때 편찬된 김경복(金慶福)과 이몽서(李夢瑞)의 실기 『속정충록(續精忠錄)』에 실린 「쌍포대첩도(雙浦大捷圖)」를 통해서 정문부 의병의 활약상이 재현되었으며, 철종 때 신도비(神道碑)를 후손들이 용인에 다시 세웠다.

영문 초록

Jeong, Moon-boo, who contributed to overcom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on many battles as the largest righteous army commander in Gwanbuk. Accordingly, he is widely known as a representative figure who has made a contribution to overcom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n this paper, we looked at the development of party politics in the late Joseon Dynasty, remembering and transferring the main gate of the righteous army commander. Immediatel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implementation of the Neo-Confucianism order was urgent at the national level because it was the time when the party politics was established. Accordingly, King Seonjo and the Gwanghaegun Army organized the figures who were active in the war by lecturing meritorious subjects. The main gate department, which defended the government-run northern region by performing a prominent role as a righteous army commander, was ranked first in the Seonmuwonjonggongsin and received various government posts, including various military affairs. After King Injo's full-fledged development of Bungdang politics, he tried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party in the community and gain an advantage over other party in central politics through excavation work on figures and cases that practiced Neo-Confucianism during the Imjin War. The main gate was posthumously awarded to Woo Chan-seong, and Changryeolsa Temple in Jongseong and Hyeonchungsa Temple in Gyeongseong were founded. During the reign of King Hyeonjong, a Buddhist monk was given to Changryeolsa Temple, and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he wasgiven the title of Chungui-ran. The first edition of “Nongpojip” was published during King Sukjong's reign, and Choi Chang-dae of Bukpyeongsa Temple built the Bukgwan Battle Monument, and the subjugation of the uprising of map was painted from the late 17th to the late 18th centur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memory of the war faded and Tangpyeong politics unfolded as the party politics revealed its harmful effects, efforts were made to regenerate the memories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to build a social foundation in the community and further lay the foundation for re-entry into central politics. During King Jeongjo's reign, the main gate department was marked as a loyalist and received a favor from the Buddhist monk. The main gate department was enshrined in Cheongamsa Temple in party politics. In additio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memory of the main gate was passed down in the process of additionally orienting figures who died in Bukdo, but have not yet been enshrined in the shrine. Various combat records and seven transmission maps are included in the practical skills of Kim Kyung-bok and Lee Mong-seo compiled during the reign of King Cheoljong, and the activities of the righteous army in the main gate can be guessed through the Ssangpo Battle Map. During the reign of King Cheoljong, the memorial stone was rebuilt, but it remains in Yongin.

목차

Ⅰ. 머리말
Ⅱ. 붕당정치 성립기의 기억 형성
Ⅲ. 붕당정치 전개기의 기억 추인
Ⅳ. 붕당정치 쇠퇴기의 기억 재생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강식. (2022).조선후기 의병장 鄭文孚의 기억 양상. 이순신연구논총, (), 309-347

MLA

김강식. "조선후기 의병장 鄭文孚의 기억 양상." 이순신연구논총, (2022): 309-3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