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라시대 참요(서)를 이해하는 한 방법

이용수 5

영문명
A way of understanding to the Chamyo songs(讖謠) in Shilla dynasty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이영태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87호, 399~42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4.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신라시대 참요(서)를 형혹의 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참요는 “驗也, 預言也”처럼 신비스런 기능을 하는데 이는 아이들의 지연모방과 우연, 그리고 어른들의 의미부여를 전제로 발생하는 것이다. 물론 아이들이 지닌 특성에 해당하는 지연모방, 놀이, 운율적 경향을 통해 보건대 참요의 출발은 현실에 대한 당대인들의 직관과 판단이지 형혹성이란 별이 아이로 변해 시변의 전조를 알리는 노래를 부른 것과 무관한 것이었다. 고려시대의 참요 〈阿也謠〉는 어른들의 직관과 판단에 따른 체념투와 輓歌의 일부분을 아이들이 놀이의 한 방편으로 지연모방한 것이 우연히 왕의 죽음과 맞닥트렸을 때, 어른들이 의미를 부여함에 따라 참요가 될 수 있었다. 현실에 대한 어른들의 직관과 판단, 아이들의 모방과 놀이 및 운율적 경향, 우연과 의미 부여가 연쇄되지 않는 것은 참요의 기능에 기대려는 목적에 따라 조작 및 날조된 노래이다. 신라시대 참요에서 민심이 반영되어 모방, 우연, 의미부여가 결합된 온전한 의미에서 참요의 요건을 충당하는 노래로 〈陀羅尼〉가 있었다. 한편 정치적 정당성을 확보하려는 경우는 〈完山謠〉, 〈龜背文〉, 〈鷄林謠〉, 〈智理多謠〉이고 아이들 꾀어 기존 가락에 얹어 목적한 바를 얻은 경우로 〈原花謠〉, 〈薯童謠〉가 있었다. 결국 신라의 참요는 ‘전사의 부회(前史之所以附會)’라는 서포의 지적처럼 자신들의 목적에 맞게 의미를 부여하려는 시도가 그만큼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the Chamyo songs(讖謠) of the Shilla dynasty are examined. Chamyo songs refer to songs that served certain mystical, prophetic purposes. These songs could only prevail when children heard such songs, repeated them themselves for no practical purposes except they were fun to sing and reiterate, and then the adults would pick up such trend and provide certain social meanings upon such phenomena. 〈Aya-yo〉(阿也謠), a Chamyo song of the Goryeo dynasty, was originally based upon the adults' sighing sorrow for a death of a person and also part of a usual elegy(a funeral song), yet the children heard them and sang after it, and when such after-singing of the children coincided with the demise of a certain king, the adults put some meaning upon it and 〈Ayayo〉(阿也謠) became a Chamyo song. The song itself was created in the intention of using it as a social instrument, and also in the intention of utilizing the people's perception of a children song at the time. For example of a Shilla period Chamyo song, composed of all the usual elements constituting a Chamyo such as the practice of singing-after, a coincidental quality and certain social meanings thrust upon it, and also reflecting the people's sentiments of the time, we can examine 〈Darani〉(陀羅尼). Also, for examples in which people tried to secure certain level of political legitimacy of their own through circulating a Chamyo, we can examine 〈Wansan-yo〉(完山謠), 〈Gwibae-mun〉(龜背文), 〈Gyaerim-yo〉(鷄林謠), 〈Jirida-yo〉(智理多謠), and for examples in which people urged the children to sing an existing song with changed lyrics to secure their own objective, we can examine 〈Weonhwa-yo〉(原花謠) and 〈Seodong-yo〉(薯童謠). In the end, we can say that the Chamyo songs of Shilla, Goryeo and Joseon were songs created, recreated or reinvented, with the originators' own agendas.

목차

1. 논의의 시작
2. 참요(서) 이해의 한 방법-지연모방, 놀이, 운율적 경향
3. 신라시대의 참요(서)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영태. (2011).신라시대 참요(서)를 이해하는 한 방법. 새국어교육, (), 399-421

MLA

이영태. "신라시대 참요(서)를 이해하는 한 방법." 새국어교육, (2011): 399-4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