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화제-초점 중심의 텍스트 구조 유형화에 대한 고찰
이용수 10
- 영문명
- A Study on Topic/Focus‐centered Text Structure Typing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오현아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7호, 165~19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4.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금까지 우리는 기존의 국어 교육에서 텍스트가 결속구조와 결속성의 관점에서 다루어져 오면서 텍스트의 결속 구조 관련 교육 내용이 지시․접속 표현에 머무를 수밖에 없었다는 문제의식 아래 다네쉬(1970)에서 제시한 화제 초점 중심의 텍스트 구조 유형화를 텍스트 관련 국어 교육 내용으로 적극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화제와 초점의 자연스러운 결합을 통한 문장 구조와 문장 연결에서의 자연스러운 초점 연쇄를 효과적인 텍스트 구성을 위한 이상적인 텍스트의 텍스트성 판단 기준으로 삼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다네쉬(1970)의 5가지 텍스트 주제 전개 구조인 단순 선형식 주제 전개 구조, 화제부 순환식 주제 전개 구조, 상위 화제 파생식 전개 구조, 초점부 분열식 전개 구조, 화제 비약식 전개 구조에 상위 화제 수렴식 전개 구조를 더하여 6가지 텍스트 구조 유형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텍스트 구조 유형은 특정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하지만, 설득 텍스트에서는 단순 선형식 주제 전개 구조, 상위 화제 파생식 전개 구조, 초점부 분열식 전개 구조가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영문 초록
Our exis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dealt with texts from the viewpoint of cohesion structure and coherence and, as a result, the contents of education on the cohesion structure of texts have to be confined to demonstrative and connective expressions. Recognizing the problem, this study proposed the active introduction of topic/focus‐centered text structure typing suggested by Daneš(1970) as a content of text rel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this, we expect that smooth focus chain in sentence structure and sentence connection through the natural cohesion of topics and focuses would be used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textuality of texts in composing effective texts. In addition, we examined six text structure types including Daneš’s (1970) five text thematic development structures – simple linear development structure, topic rotating development structure, hypertopic derivative development structure, focus splitting development structure and topic jumping development structure – and additional hytopic convergent development structure. These text structure types are generally applicable without limitation to specific genres, but structures commonly observed in persuasive texts were simple linear development structure, hypertopic derivative development structure and focus splitting development structure.
목차
Ⅰ. 머리말
Ⅱ. 기존 설득 텍스트 관련 교육 내용 분석
Ⅲ. 화제-초점 구조 중심의 텍스트 구조 유형화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문단 중심 고쳐쓰기 사례 연구
- 하이퍼텍스트성의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 대학 ‘사고와 표현’ 교육에 대한 대학생들의 요구 조사 연구
- Rasch 평정척도 모형을 이용한 쓰기불안 척도 분석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언어적 창의력 신장 방법 연구
- TV드라마 《선덕여왕》콘텐츠에서 캐릭터 중심의 게임놀이 스토리텔링 연구
- <이정난전>의 영웅소설적 성격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에 대해’의 교육 내용 연구
- 프로토콜 분석을 활용한 쓰기 과정 지도 및 평가
- 화제-초점 중심의 텍스트 구조 유형화에 대한 고찰
- 신문 언어의 오류 양상에 대한 고찰
- 신라시대 참요(서)를 이해하는 한 방법
- 重峯 趙憲의 學問․思想과 詩 硏究
- 독서지수의 활용 방안 연구
- 대학 신입생들의 글쓰기 양상에 대한 고찰대학 신입생들의 글쓰기 양상에 대한 고찰
- 교사의 동기 전략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이 동기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최인훈 희곡〈둥둥 낙랑둥〉의 알레고리적 읽기
- 쓰기 교육 내용 조직의 위계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