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야경을 보는 열 가지 방식
이용수 246
- 영문명
- Ten Versions of Seeing the Nightscape in Seoul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저자명
- 홍금수
- 간행물 정보
- 『문화역사지리』제34권 제3호, 1~35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문화의 가시적 표현으로서 문화지역을 설정하고 문화전파의 경로를 비정하는 단서였던 문화경관은 최근 다양한 비유와 유추 아래 심층적으로 해석되고 있으며 비재현 정동이론 차원의 수행에 입각한 실천적 이해를 시험하고 있다. 경관연구 방법론의 대대적 전환에도 불구하고 한 가지 간과된 지점은 시간대역에서 주간을 전제하며 논의가 차별적으로 전개된다는 사실이다. 자연광이 구성한 주간경관에 대한 이해와 해석에 집중되고 있을 뿐 야간경관은 연구 관심에서 소외되거나 논의에서 배제되었다. 다행히 인공조명의 영향으로 24시간 생활이 가시화하고 후기산업사회 소비문화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야경에 관한 관심이 서서히 고조되고 있다. 본고는 주경과 함께 문화경관의 한 축을 담당하면서도 그간 철저하게 은폐되고 외면받았던 야경 연구의 가능성을 타진한다. 도널드 W. 마이닉이 제안한 10가지 일상경관 인식 방법에 착안하여 월광, 성광, 인공조명으로 재구성된 서울의 야간경관을 관찰하고 해석과 비판을 붙였다. 서울의 야경에는 자연, 거주지, 인공물, 체계, 문제, 부, 이념, 역사, 장소, 미의 다채로운 면모가 중첩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텍스트, 극장, 카니발, 스펙터클, 보는 방식, 상징, 기호, 도상 등의 비유에 입각한 밀도 있는 독해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cultural landscape has served as a means of exploring the repertoires of cultural areas and cultural diffusion. Recent discussion features the thicket of analogies identified with new cultural geography as well as the rhetoric of performativity decreed by the affective turn. However there remains a critical caveat in that landscape interpretation has been pursued on the sole backdrop of daytime. Nighttime scenery has been muted with few attempt to interpret the real and symbolic meanings and consistently marginalized in landscape studies. It is the advent of 24-hour life style in tandem with the post-industrial consumer society that allows cityscape to see the light of night. In this article I try to test the plausibility of D. Meinig’s ten versions of an ordinary landscape by loitering along the streets of Seoul in an attempt to look into a diversity of everynight urban landscapes amid floods of incandescent electric lights. The journey conforms that Seoul’s nightscapes have multiple meanings of nature, habitat, artifact, system, problem, wealth, ideology, history, place and aesthetic in line with Meinig’s conceptualization. It is time to further the discourse by relying on such highly insightful metaphors as text, theatre, carnival, spectacle, ways of seeing, symbol, sign and icon.
목차
1. 서론
2. 빛 경관과 야경연구
3. 도널드 W. 마이닉의 일상경관 해석
4. 서울의 야경 독해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NEW
- 한국고지도연구 제16권 제2호 목차
- 『도로고』(1770)와 『대동지지』 「정리고」(1864)의 도로망 복원과 노선 비교(1) - 경유지를 중심으로
- 읍지에 반영된 현실과 인식 - 『新定牙州誌』 번역 과정에서의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