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풍수적 측면에서 본 영주 금계촌 승지

이용수 46

영문명
Yeongju Geumgye village Seungji viewed in the aspect of fengshui
발행기관
한국민족사상학회
저자명
천인호
간행물 정보
『민족사상』제14권 제2호, 211~249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0.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정감록』은 조선 후기 대표적인 예언서이자 참언서(讖言書)이다. 『정감록』에는 승지의 개념이 있다. 승지란 병화(兵火)가 없고 흉년이 없이 자신과 가족들의 안위를 지킬 수 있는 장소로서 전국적으로 10개의 승지를 제시하였는데 이를 십승지라고 한다. 본 연구의 대상지인 풍기 금계촌은 닭이 알을 품고 있는 ‘금계포란형’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정감록』의 십승지 중 가장 먼저 언급한 장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금계포란형’의 승지로 알려진 풍기 금계촌을 중심으로 이를 풍수적으로 해석하고 그 특징을 논의하고 승지가 풍수와 결합하게 된 이유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풍기 금계촌은 ‘금계포란형’의 명당으로 알려져 있으나 금계촌의 공간적 구성인 풍기읍 전체를 ‘금계포란형’으로 보기에는 전통적인 풍수 형국론의 ‘금계포란형’과 괴리가 있다. 둘째, 금계촌에서 ‘금계포란형’으로 해석할 수 있는 지역은 부계밭에서 바라본 용천동 지역인데, 비록 ‘금계포란형’으로 해석할 수 있는 여지는 있으나, 국면이 너무 좁아 승지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셋째, 욱금리와 삼가리는 풍수의 원리에 따른 해석 결과 긍정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 그러나 혈장을 특정하기 어려운 지세이며 특히 수세가 환포하지 못하고 직류로 빠져나가 버려 부정적인 부분도 있었다. 그러나 이 지역은 사신사로 둘러싸여 있고, 수구가 좁고 길며, 내부에는 농사에 적합한 퇴적지가 있어 승지로서의 조건은 충족시켰다. 풍기 금계촌 지역 전체가 ‘금계포란형’ 또는 ‘풍수 명당’이라는 일반적 시각에 대해 동의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현지 거주민들이 이곳을 ‘금계포란형’이라는 풍수 명당이라고 믿고 살아가고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금계촌은 사람이 장기간 거주하기는 곤란한 지역이지만 이 지역에 풍수 명당의 개념을 추가하였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풍기 금계촌은 조선 시대 혼란을 피하고 안위를 도모하며 생존하기 위한 소극적 복리를 구하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금계포란형’이라는 풍수적 개념과 결합하면서 훌륭한 인물이 배출될 것이라는 믿음과 이 믿음을 통해 난세를 극복하고자 하였던 풍수의 자기실현적 예언(self-fulfilling prophecy)이 반영된 명당을 추구한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erprets Geumgye village(金鷄村) of Punggi(豐基) known to be Seungji (勝地:Shelter for people to seclude in turbulent age) and ‘Shape of cock brooding eggs(金鷄抱卵形)’ in terms of fengshui. Further, it aims to clarify that Geumgye village is not a geographical Myoungdang(明堂:propitious site), but the place which reflects the sense of people in Chosun age who wished to avoid and overcome confusion. Geumgye village is composed of Geumgye-ri(金鷄里), Ryungcheon-dong(龍泉洞), Ukgeum-ri(郁錦里) and Samga-ri(三佳里). The outcom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Geumgye village as ‘Shape of cock brooding eggs’ in terms of fengshui. Second, although the area of Ryungcheon-dong seen from Bugae field(伏鷄田) can be chosen as ‘Shape of cock brooding eggs’, this area fails to meet the condition of Seungji. Third, Ukgeum-ri and Samga-ri considerably satisfy the condition of Seungji in that they have narrow & long Sugu(水口:last point through which water flows out), field which is suitable for agriculture, flowing stream. However, they cannot be regarded as Myoungdang in terms of fengshui. After study, it is difficult to agree to general vision that Geumgye village is ‘Shape of cock brooding eggs’ or Myoungdang. Although Geumgye village is not suitable for people to live for long time, it is believed to discharge great person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Myoungdang in terms of fengshui. Further, people pursued Myoungdang to which self-fulfilling prophecy of fengshui was reflected in order to overcome turbulent age through this belief.

목차

Ⅰ. 서론
Ⅱ. 『정감록』과 십승지
Ⅲ. 금계촌의 위치 추정과 마을 구성
Ⅳ. 풍수적으로 본 금계촌 승지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천인호. (2020).풍수적 측면에서 본 영주 금계촌 승지. 민족사상, 14 (2), 211-249

MLA

천인호. "풍수적 측면에서 본 영주 금계촌 승지." 민족사상, 14.2(2020): 211-2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