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법적 은유로서 서술성 명사의 텍스트 응집 기능에 대한 연구
이용수 56
- 영문명
- A Study on the Text Cohesive Function of Predicative Nouns as a Grammatical Metaphor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소지영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15호, 277~30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서술성 명사는 명사임에도 서술성을 지녀 문장 구성 시 논항을 취할 뿐 아니라 그 자체로 절 단위의 의미를 압축하고 있다는 특성을 함께 지닌다. 이러한 특성은 서술성 명사가 포함된 문장 단위는 물론, 텍스트 전체의 정보 구조에도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서술성 명사의 이러한 특성에 주목하여 서술성의 개념을 ‘문법적 은유(grammatical metaphor)’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이를 텍스트 읽기 맥락에 적용하여 서술성 명사에 의해 텍스트 응집성이 실현되는 사례를 분석해 보았다. 텍스트 분석 결과, 서술성 명사는 인접해 있는 문장 간 의미를 연결하는 방식, 일정한 의미 분류 체계를 형성하여 여러 내용을 응집하는 방식, 선행하는 절 단위의 의미를 글의 다른 부분에서 서술성 명사로 압축함으로써 여러 문단을 가로지르며 의미를 연결하는 방식 등으로 응집성을 실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서술성 명사에 대한 본고의 확장적 관점은 서술성 명사의 형태·통사적 정보 외에 의미적 정보까지 다룰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텍스트 표면적 응집 장치뿐만 아니라 텍스트의 정보 구조를 반영하는 서술성 명사에 주목하여 텍스트를 읽게 되면 글의 구조 및 내용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Despite being a noun, predicative nouns have a predicative character, which not only takes an argument when composing a sentence, but also has the characteristic of compressing the clausal meaning itself. These characteristics affect not only the sentence containing the predicative noun but also the information structure of the text as a whole. This study focuses on these characteristics of predicative nouns, examines it in terms of ‘grammatical metaphor’, and analyzes text cohesion by predicative nouns.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the text cohesion is realized by the way of connecting the meanings of adjacent sentences, forming a certain semantic classification structure to coalesce the various contents, and condensing the meaning of the preceding clause into the predicative nouns. The extended view of predicative nouns has the advantage of dealing with semantic information of predicative nouns. Based on this, it can be said that it is meaningful to read the text by paying attention to the predicative nouns that reflect the logic flow of the text, and it can help understanding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text.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분석 결과 및 논의
4.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 내 중학생을 위한 한국문화 교육 항목 선정에 관한 기초 연구
- 학령기 학습자의 문법 개념화 과정 기반의 학습자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한국어 문법 능력 진단·학습·평가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시론
- 문장의 호응 관련 교과서 단원의 비판적 고찰
- 항공서비스 전공 유학생을 위한 NCS 기반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과 활용방안
- 디지털 시대 시민성 교육을 위한 국어 교육의 역할
- 한국어 초급 교재에 제시된 과제 유형 분석
- 한국어교육에서 ‘맥락’ 논의에 대한 일고찰
- 『훈민정음』 해례본의 텍스트성 탐색
- 영화 <수상한 그녀>를 활용한 한국어 의사소통 교육 연구
- 문법적 은유로서 서술성 명사의 텍스트 응집 기능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