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훈민정음』 해례본의 텍스트성 탐색
이용수 18
- 영문명
- A Study on The Textuality of Hunminjeongeum Haeryebo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부연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15호, 237~276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훈민정음』 해례본의 핵심 텍스트인 <예의>와 ≪해례≫의 텍스트적 속성을 탐색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훈민정음』 해례본의 텍스트적 속성을 살피기 위해 오늘날 텍스트 분석의 기본 틀로 자리매김한 Beaugrande&Dressler(1981)의 텍스트성 개념을 적용하였다. 단『훈민정음』 해례본의 성격에 맞게 텍스트성에 대한 개념을 조정하여 분석 작업의 틀을 삼았다. 특별히 <예의>와 ≪해례≫는 상호텍스트성이라는 특수 관계로 생산되었으므로, 이러한 생산관계를 전제로 그 밖의 텍스트성이 <예의>와 ≪해례≫에 어떠한 양상으로 드러나는지 각 부분 텍스트의 내재성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는 궁극적으로 <예의>와 ≪해례≫가 『훈민정음』 해례본의 핵심 텍스트로서의 기능을 담당하기 위해 어떻게 실체화되었는지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예의>와 ≪해례≫는 일곱 가지 텍스트성의 실체와 그들 간의 관계가 명확히 나타나는 텍스트임을 밝혀낼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텍스트를 텍스트답게 만드는 여러 가지 요소들을 총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훈민정음』 해례본을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세계 유일의 문자 해설서인 『훈민정음』 해례본에 대한 가치를 다각적으로 탐구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pplies the textuality proposed by Beaugrande&Dressler (1981) to Yeui and Haerye, the core texts of Hunminjeongeum Haeryebon. we examine the seven categories of textuality in Beaugrande&Dressler(1981), the textual category and analysis of Hunminjeongeum Haeryebon. And make appropriate adjustments to the nature of Haeryebon to establish standards for analysis. First, intertextuality, which is the fundamental mechanism of core text production, is the premise of the analysis standard. Second, the concept of acceptability is divided into macroscopic and microscopic dimensions. Third, since the seven textualities have a correlation with each other, they are organically related and analyzed. Through this, we examine the intrinsic nature of each part of textual qualities as to how the textuality of Yeui and Haerye is revealed. As a result, this study will be able to effectively understand Hunminjeongeum Haeryebon by examining the various elements that make text textual, and will contribute to the diversity of approaches to explore the value of Hunminjeongeum Haeryebon, the world’s only text book.
목차
1. 서론
2. 분석 기준으로서의 텍스트성
3. <예의>의 텍스트성 분석
4. ≪해례≫의 텍스트성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 내 중학생을 위한 한국문화 교육 항목 선정에 관한 기초 연구
- 학령기 학습자의 문법 개념화 과정 기반의 학습자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한국어 문법 능력 진단·학습·평가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시론
- 문장의 호응 관련 교과서 단원의 비판적 고찰
- 항공서비스 전공 유학생을 위한 NCS 기반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과 활용방안
- 디지털 시대 시민성 교육을 위한 국어 교육의 역할
- 한국어 초급 교재에 제시된 과제 유형 분석
- 한국어교육에서 ‘맥락’ 논의에 대한 일고찰
- 『훈민정음』 해례본의 텍스트성 탐색
- 영화 <수상한 그녀>를 활용한 한국어 의사소통 교육 연구
- 문법적 은유로서 서술성 명사의 텍스트 응집 기능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