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내 중학생을 위한 한국문화 교육 항목 선정에 관한 기초 연구
이용수 6
- 영문명
- A Foundational Research on Selecting the Items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China: Focus on Requirement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ianji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철영 박덕유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15호, 161~205쪽, 전체 4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8,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잠재적인 한국어 교육 인재 또는 한국문화에 친밀한 문화 전도사가 될 수 있는 중국 내 중학생을 위해 한국문화 교육 항목을 선정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중국 천진(天津)에 거주하는 중학교 3학년(九學年)학생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설문은 객관식 문항과 주관식 문항으로 구성되었는데 한국의 유명여행지, 지역축제, 관광명소, 계절활동 등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가장 높았다. 중국 중학생을 위한 실제적인 한국문화 교육 내용의 기준은 한국문화에 대한 지식과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로 분류하여 제시하였고, 그 내용은 한국인의 일상생활, 한국어의 기초적인 지식, 한국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 한국의 대중문화와 관련된 내용이다. 본고의 요구분석이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에 주는 시사점으로 첫째는 중-고-대학교에서 체계적으로 연계되는 한국어·한국문화 교육이 요구되며, 둘째는 학습자의 요구가 반영된 교재나 학습자료가 필요하며, 셋째는 한국어·한국문화와 중국어·중국문화의 상호 비교를 통한 교수-학습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the subjects of Korean culture for the education of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who can become the educators of Korean language or evangelists of Korean culture.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 purpose, the survey of 50 middle school students in Tianjin was analyze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multiple choice questions and short answer questions. The respondents selected popular travel destinations, local festivals, tourist attractions, and seasonal activities in Korea as the most interested and need information. The subjects for the education of Korean culture were categorized into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nd included the daily routine of Koreans, basic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general understanding of Korea, and interest in Korean culture. The findings of requirement analysis showed the need for 1)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systematically linked to education in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e; 2) instructional and learning materials that reflect the requirements of students; and 3) instruction and learning through mutual comparison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nd Chinese language and culture.
목차
1. 서론
2. 연구 대상 및 방법
3. 한국문화 교육 항목 선정을 위한 요구분석
4. 중국 중학생 대상 한국문화 교육 항목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 내 중학생을 위한 한국문화 교육 항목 선정에 관한 기초 연구
- 학령기 학습자의 문법 개념화 과정 기반의 학습자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한국어 문법 능력 진단·학습·평가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시론
- 문장의 호응 관련 교과서 단원의 비판적 고찰
- 항공서비스 전공 유학생을 위한 NCS 기반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과 활용방안
- 디지털 시대 시민성 교육을 위한 국어 교육의 역할
- 한국어 초급 교재에 제시된 과제 유형 분석
- 한국어교육에서 ‘맥락’ 논의에 대한 일고찰
- 『훈민정음』 해례본의 텍스트성 탐색
- 영화 <수상한 그녀>를 활용한 한국어 의사소통 교육 연구
- 문법적 은유로서 서술성 명사의 텍스트 응집 기능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