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브라함 협정 이후 한·이스라엘 GCC 시장 수출 경합 가능성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Potential Export Competition between Korea and Israel in the GCC Market after the Abraham Accord
발행기관
국제지역학회
저자명
정재욱
간행물 정보
『국제지역연구』제26권 제4호, 3~1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20년 9월, 걸프협력회의(GCC) 회원국인 아랍에미리트(UAE)와 바레인은 이스라엘과 아브라함 협정에 합의하고 외교 관계를 정상화하였다. 아브라함 협정을 계기로 이스라엘과 일부 GCC 회원국 간의 경제협력이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2022년 5월에는 이스라엘과 UAE가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에 합의하면서 일각에서는 GCC 시장에서 한국 기업의 입지가 이스라엘 기업과 경쟁 속에 잠식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이런 배경에서 본 연구는 GCC 시장에서 한국과 이스라엘 간의 수출 경합 가능성을 다양한 지표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국제특허자료, 상품 단위 교역자료 등 다양한 지표를 이용하여 기술 수준, 대세계 및 대GCC 수출 구성, GCC 시장의 수입수요 등의 측면에서 양국의 수출경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과 이스라엘 모두 기술집약적 중간재, 자본재, 소비재를 주로 수출하고 있다는 공통점은 있으나 실제 양국의 주요 수출 상품군은 거의 겹치지 않으며 주요 산업에서 양국 기술의 상용화 수준에 상당한 격차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In September 2020, the United Arab Emirates and the Kingdom of Bahrain, the two members of the Gulf Cooperation Council (GCC), and Israel signed the Abraham Accords, which normalized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he countries. The Abraham Accords opened economic cooperation opportunities demanded by both sides for a long time. In May 2022, Israel and the UAE signed the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CEPA), abolishing trade and investment barriers and supporting economic cooperation. There are some concerns that the emergence of Israeli firms in the GCC market may crowd out Korean firms from the GCC market. This study analyzes the potential export competition between Korea and Israel in the GCC market with international patent data and detailed international trade data. Although both countries have similarities in exporting technology-intensive intermediate goods, capital goods, and consumption goods to the world, in fact, their export baskets are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n most sectors still has a large gap between the two countries. It suggests the ‘Israel Syndrome’ is unreal and Korean exports can hold strong market shares in the GCC market in the near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한국과 이스라엘의 경제 및 교역 구조 비교
Ⅲ.국제특허자료를 이용한 양국 기술 수준 비교
Ⅳ. 교역자료를 이용한 양국 잠재적 수출경합성 비교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재욱. (2022).아브라함 협정 이후 한·이스라엘 GCC 시장 수출 경합 가능성 연구. 국제지역연구, 26 (4), 3-19

MLA

정재욱. "아브라함 협정 이후 한·이스라엘 GCC 시장 수출 경합 가능성 연구." 국제지역연구, 26.4(2022): 3-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