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후기 여성 한시와 『시경』

이용수 109

영문명
Shijing and the Female Sino-Korean Poetry in the Late Choseon Period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김진영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45권, 131~16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조선 후기 여성 한시와 『시경』’이라는 주제 하에 (1)여성의 한시 창작에 대한 정당화 논거로 『시경』이 활용된 맥락을 살피고, (2)『시경』이 여성 한시 창작에 구체적으로 반영된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조선 후기 여성들이 지은 시경체 한시를 분석해 보았다. 여성의 한시 창작과 시집편찬은 16세기 중엽 이후 점점 본격화된 것으로 보이는데, 이에 따라 그 정당화의 필요성 또한 함께 증대되었다고 할 수 있다. ‘사대부 남성의 한문학’이 주류이던 시대에 여성의 한시 창작은 ‘부덕(婦德)’이라는 가치를 통해 정당화되곤 했다. 사대부 남성들은 『시경』의 「주남」·「소남」에도 현숙한 부인들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는 사실을 논거 삼아, 부덕을 갖춘 여인이 「주남」·「소남」의 유풍을 계승한 시를 짓는 것은 괜찮다는 논리를 구성했다. 그러나 이처럼 여성에게만 요구되는 윤리 덕목인 부덕을 통해 여성의 한시 창작을 정당화하려는 논리는, 여항시집 및 국문시가집의 편찬이 『시경』을 통해 옹호될 때 천기론과 결합했던 것과는 사뭇 다른 면모였다고 할 만하다. 조선 후기 여성에 의해 창작된 시경체 한시로는 안동 장씨의 <학발(鶴髮)>, 김삼의당의 <송형우귀(送兄于歸)>, 강정일당의 <탄원(坦園)> 세 작품이 주목된다. 안동 장씨는 행역(行役)으로 인한 가족의 이산이라는 소재를 다루되, 모자 관계에만 초점을 맞춘 작품을 창작했다. 김삼의당은 여성의 결혼이라는 소재를 다루되, 가부장제 사회의 여성이 결혼에 대해 지니는 복잡한 내면에도 주목하는 작품을 지었다. 강정일당은 4언 연장체 형식을 원용하되 첩영체 형식은 취하지 않음으로써 작품에 전아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여기에 남편의 이야기를 소재로 채워 넣어, 산림학자풍의 시를 지었다. 이들은 모두 『시경』이라는 고대의 문학 전통과 자기의 구체적인 삶의 경험을 결합시킴으로써 일정한 시적 성취를 거두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under the title of ‘Shijing(詩經, Book of Poetry) and the female Sino-Korean poetry in the late Choseon(朝鮮) period’, tries to (1)figure out the context where Shijing was used to advocate female poetry writing and (2)analyze the Shjing-style poems written by late Choseon women to understand how Shijing specifically influenced the female poetry writing in detail. Female poetry writing and the publication of female poetry collections started to prevail after mid 16th century, and as a result, the justification of female poetry was required. When the Sino-Korean works of male literati were the mainstream literature, female poetry writing was often justified under the name of ‘Womanly Virtue’(婦德). Male literati argued that women with Womanly Virtue were allowed to write poetry in the tradition of Zhounan(周南) or Zhaonan(召南) because in Zhounan and Zhaonan chapters of Shijing there were poems composed by virtuous women. However, such an argument emphasizing Womanly Virtue as a ground for female poetry writing wa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justification of middle-class(閭巷人) poetry or vernacular Korean poetry, where Shijing was combined with the Theory of Natural Essence(天機論). There were some good examples of Shijing-style poetry written by women in the late Choseon period, such as Silver Hair(鶴髮)by Mrs. Chang(張氏), mother of Yi Hyeonil(李玄逸), On My Sister’s Wedding Day(送兄于歸) by Kim Sameuidang(金三宜堂) and The Expansive Garden(坦園) by Kang Jeongildang(姜靜一堂). Mrs. Chang’s Silver Hair was a poem about a dispersed family, focusing on the mother-son relationship. Kim Sameuidang’s On My Sister’s Wedding Day was a poem expressing women’s complex feelings toward marriage in a patriarchal society. Kang Jeongildang’s The Expansive Garden was composed in a four-syllable multi-stanza style, but not in a repetitive stanza style, so the poem could have a more elegant flavor, suited to express hermit scholar’s lifestyle, which she encouraged to her husband. Each of these three poets had poetical achievements, combining the ancient literary tradition of Shijing with their own life experiences.

목차

1. 서론
2. 여성의 한시 창작에 대한 정당화 논거로서의 『시경』
3. 여성의 시경체 한시에 나타난 『시경』 전통의 계승과 전변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영. (2022).조선 후기 여성 한시와 『시경』.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131-160

MLA

김진영. "조선 후기 여성 한시와 『시경』."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022): 131-1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