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2장 韓國思想의 源流와 그 正體性
이용수 17
- 영문명
- The Headstream and Identity of the Korean Thought
- 발행기관
- 한국민족사상학회
- 저자명
- 김진윤(Kim Jin Yun)
- 간행물 정보
- 『민족사상』제6권 제4호, 41~6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韓國思想은 韓國人이 처해 있는 환경적 여건에 맞추어 자생적인 사고와 전래된 사상들을 主體的으로 흡수하여 그들의 생존을 위한 최선의 선택을 해온 결과물이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主體的’이라는 의미는 韓民族이 共同體를 형성한 시점에서 시작된 檀君思想의 弘益人間精神과 理化世界精神을 根基로 하여 불교사상과 유교사상을 흡수하여 주체적 자기 것으로 만들었다는 것을 말한다. 즉 고유의 한국사상이 불교와 유교의 전래로 外形的인 모습에서 불교사상와 유교사상의 모습으로 한국사상을 포장하고 있지만 그 바탕에서 人間中心的 思考로 현실적인 인간의 모습과 그들의 질서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한국사상은 우리 한민족이 태초부터 자연과 더불어 살아오면서 나름대로의 얻은 삶의 지혜와 질서의 總合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이러한 한국사상의 正體性은 한민족이 형성돤 이후 줄곧 그 맥을 면면이 이어오는 과정에서 언제나 그 방향성의 指標가 되었으며, 그것이 바로 弘益人間精神과 理化世界精神을 根基로 한 人間中心的 思考로서 그 正體性의 핵심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Korean thought is the deliverables that Koreans subjectively absorbed in the indigenous ideas and imported thought in accordance with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y've done the best choice for their survival. Here ‘subjective’ means that at one point the Koreans absorbed in Buddhism and Confucian basd on Hongikingan(弘益人間) Mind and Ewhasiege(理化世界) Mind in the Dangunsasang (檀君思想) on the subjective. The unique Korean thought is packed in the outward appearance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to the guise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but it can be based on realistic appearance of human and anthropocentric thinking that focuses their order Therefore, the Korean thought can be defined as the sum of its own wisdom and order of life that our ancestors gained from the beginning of life with nature. Since the Koreans were formed in the process of coming, the identity of these Korean thought always behave an indicator of the direction. And these anthropocentric thinking that based on Hongikingan(弘 益人間) Mind and Ewhasiege(理化世界)Mind can be regarded as the core of the identity of Korean thought.
목차
Ⅰ. 序論
Ⅱ. 韓國思想의 意味
Ⅲ. 韓國思想의 源流
Ⅳ. 韓國思想의 正體性
Ⅴ. 結論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정치외교학분야 NEW
- 킬체인의 공격단계에서 공군력의 역할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Calibrating Differences between Biden and Trump 2.0 Administration: What’s at Stake for Seoul?
- 한국의 對중국 직접투자의 무역효과와 자본형성효과의 영향 및 분석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