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Gamification Dynamic model for Habit-building to leap Metaverse Trap
이용수 44
- 영문명
- Gamification Dynamic model for Habit-building to leap Metaverse Trap
- 발행기관
- 한국컴퓨터게임학회
- 저자명
- 김정태(Jung Tae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제35권 4호, 17~2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07년 메타버스 로드맵에서 메타버스 정의가 공식 발표된 바 있으며, 당시 국내외 연구자들에 의해 많은 논문이 발표되면서 학문적 이론적으로 정립하려는 노력을 해왔다. 이와는 달리, 산업계에서는 ‘메타버스’ 키워드가 비대면 장기화와 맞물려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정작 언급되는 메타버스 성공사례는 '게임'이거나 '게이미피케이션' 또는 ‘게임융합’ 사례가 다수다. 따라서, '메타버스'영역에도 게이미피케이션 이론과 원리의 적용은 바람직하다. 이에, 필자가 발표했던 DMGL 모델을 확장하여, 메타버스 내 습관형성 위한 다이내믹 모델을 제시하였다. 저자는 플레이어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메타월드 습관 형성을 위한 4가자 양상의 모델을 제안했다. P1) 플레이어는 세계관에 따라 전개되는 배경스토리를 따르며, 유발된 호기심으로 탐험할 동기가 생성되고 게임의 조작법을 익히고 게임의 목표를 향하는 여정이다. P2) 플레이어는 메타월드의 조작법 익히기 단계로 온보딩 한다. P3) 플레이어는 아바타 꾸미기,아이템 획득/거래,커뮤니티 활동 등을 수행하면서, 점차 목적(표)를 향한다. P4) 플레이어는 목적기능을 바로 수행할 수 있는 방식으로 온보딩한다. 이 모델은 게임의 원리와 요소의 융합(게이미피케이션)으로, 후속연구에서 보다 심도 있는 연구 모델을 제시할 예정이다.
영문 초록
The definition of metaverse was officially published in the metaverse roadmap in 2007, and many papers were published by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rs at the time, making efforts to establish it academically and theoretically. In the industry, the keyword 'metaverse' is overhe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non-face-to-face prolonged period. Most of successful cases of metaverse mentioned are ‘game’, ‘gamification’, or ‘game convergence’.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apply the theory and principle of gamification to the 'metaverse' area. Accordingly, the DMGL model announced was expanded to present a dynamic model for player’s habit building in the metaverse. Author would like to propose a dynamic model for metaworld habit formation to enhance player experience. This model which has 4 phases is a convergence of the principles and elements of games (gamification). P1) The player follows the background story that gradually develops according to the world view, and it is a journey toward the goal of the metaworld. P2) Player is onboarding the metaworld to learn how to control it. P3) The player gradually heads towards the goal while performing avatar decoration, item acquisition/transaction, and community activities. P4) Player onboards in such a way that they can immediately perform the objective function. I’d like that this ‘gamification dynamic model for habit-building to leap metaverse trap’ will be of significant help to metaverse development and related research.
목차
1. Introduction
2. Prior research
3. A Study on the Design of Meta Content Experience
4. MetaWorld Habit Formation Gamification Model
5. Conclusion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 of Self-Control and Attention Problem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Weekday Media Play and Children's Play Interactions
- Procedural Texture Generation Method of Camouflage Pattern for Digital Contents Creation
- Siamese Based Network for Detecting Quora Questions Similarity
- An Analysis of Time Loop Device of Game ‘12 minutes’: Focusing on Repeatability and Player Experience
- Various Techniques of Sentence Embedding using Question-Answering in Game Play
- The Effect of Parents' Game Perception on Children's Life Satisfaction
- Implementation of Shooting Game with Various Gameplay Patterns
- Gamification Dynamic model for Habit-building to leap Metaverse Trap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컴퓨터학분야 BEST
- 지도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기반 관광 빅데이터의 시각화
-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예방을 위한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공서비스 공급 관점에서 살펴본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 인증 시범사업과 의료민영화 논쟁
공학 > 컴퓨터학분야 NEW
- 스마트미디어저널 제14권 제2호 목차
- A Study on Dataset Development and Model Vulnerability to Backdoors
- Ransomware Detection Using Deep Q-Network and L2PGD Attack Analysis on a Custom Datase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