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브라질 재외 동포의 언어 태도 연구
이용수 65
- 영문명
- A Study of Language Attitude of Overseas Koreans in Brazil
- 발행기관
- 한국사회언어학회
- 저자명
- 황지윤(Hwang, Jiyoon)
- 간행물 정보
- 『사회언어학』제30권 4호, 287~323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presents on overview of variations of languages attitudes across generations of Korean Brazilians. For this study I surveyed a total 60 Koreans living in Bom Retiro and in Piracicaba. The surveys and interview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Korean language usage, Determinants of language choice, Unconscious language attitude and Impression about languag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s the generations passed, the identity gradually changed in favor of the country of residence.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1.5 generation had a more positive image of Brazilian Portuguese than the second generation. However, it can be seen that all generations have a more positive image of Korean than Brazilian Portuguese. In addition, the second generation Korean Brazilians were twice as likely to feel both Brazilian and Korean as those who only feel Brazilian. Thus,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still many overseas Koreans in Brazil who maintain their identity of Koreans. In this situation, i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he next generation of overseas Koreans in Brazil improved, it is expected that the subsequent generations will also be able to maintain their Korean identity and blend it into the identity of their country of residence.
목차
1. 머리말
2. 언어 태도와 언어 의식
3. 조사 대상 및 조사 방법
4. 브라질 재외 동포의 언어 태도 분석
5. 맺음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감탄사 ‘응’과 ‘어’ 사용에 나타난 사회언어학적 변이 연구
- TV 드라마 속 영어 외래어 사용 양상 연구
- 공공기관의 용어 사용 실태조사 및 개선안 연구
- 뉴스 인터뷰어 발화에서 ‘네/예’의 기능과 특성
-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s Identities in COVID-19 Pandemic Narratives
- 한국어 모어 화자와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의 사과 대화 기능 단계 분석
- 한국 사회의 전염병 관련 표현에 대한 언어문화 연구
- 브라질 재외 동포의 언어 태도 연구
- Formulating ‘Tag Questions’ in Korean Conversation: Pseudo-tags Ci and Cianha as Interactional Resources
- A Study on Pragmatic Discourse Markers okay, so, like in Korean English Learners' Spoken Corpus (KELSC)
- 사회언어학 제30권 4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