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모어 화자와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의 사과 대화 기능 단계 분석
이용수 52
- 영문명
- Functional Phase Analysis in the Apology Conversation Comparing Native Korean Speakers and Native Vietnamese Korean Learners
- 발행기관
- 한국사회언어학회
- 저자명
- 조하진(Cho, Hajin)
- 간행물 정보
- 『사회언어학』제30권 4호, 249~286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paper analyzed the features of how native Korean speakers (K) and native Vietnamese Korean learners (VKL) organize the Apology conversation, focusing on the functional phase. Based on the discourse analysis, a role play was conducted to collect dat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ocial variables (social status, intimacy), learners' mother tongues and learners' Korean proficiency, different social variables were given in role-play situations, and learners' Korean proficiency was limited to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The results of analyzing conversations focusing on ‘Error Checking-Apology-Apology Acceptance’, which is the intermediate phase of Apology conversation, are as follows. First, in the Error Checking Phase, K tended to make indirect or preliminary remarks. In contrast, VKL immediately presented communication purposes, and advanced VKL tended to use indirect speech and additional statement. Second, in the Apology phase, the higher social status the other party has and the lower intimacy the two speakers has, the more passive K were. Interestingly, VKL showed the same pattern. For intermediate-level VKL, it was observed that the dialogue sequences were not completed. Third, in the Apology Acceptance phase, K repeatedly expressed apologies through complex dialogue sequences. However, VKL performed a concise conversation by simple dialogue sequences, and the intermediate-level VKL expressed ‘relief’ and ‘gratitude’.
목차
1. 서론
2. 사과 대화에 대한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사과 대화의 기능 단계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감탄사 ‘응’과 ‘어’ 사용에 나타난 사회언어학적 변이 연구
- TV 드라마 속 영어 외래어 사용 양상 연구
- 공공기관의 용어 사용 실태조사 및 개선안 연구
- 뉴스 인터뷰어 발화에서 ‘네/예’의 기능과 특성
-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s Identities in COVID-19 Pandemic Narratives
- 한국어 모어 화자와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의 사과 대화 기능 단계 분석
- 한국 사회의 전염병 관련 표현에 대한 언어문화 연구
- 브라질 재외 동포의 언어 태도 연구
- Formulating ‘Tag Questions’ in Korean Conversation: Pseudo-tags Ci and Cianha as Interactional Resources
- A Study on Pragmatic Discourse Markers okay, so, like in Korean English Learners' Spoken Corpus (KELSC)
- 사회언어학 제30권 4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