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화순 운주사현장의 등장배경과 법화경 28품

이용수 73

영문명
The Foundation of Unjusa Temple and The Lotus Sutra
발행기관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저자명
박형상
간행물 정보
『종교문화학보』제19권 제2호, 125~171쪽, 전체 4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8,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화순 운주사현장의 역사적 유래는 불명이었다. 운주사의 역사적 실종 상태에 관련하여 그간 여러 의견이 제시되었지만 운주사 시공간의 내력과 창건주체를 설명하지 못하였다. 이에 운주사현장의 다탑(多塔)현상에 주목하여 그 신앙적 배경을 살피면서 고려 13세기 최씨 무인정권기와 몽골 침입기에 왕성하게 활동한 백련결사(白蓮結社)에 의한 운주사현장의 조성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운주사현장의 조형물들은 명백하게 의도적이며 일관된 사상에 기초한 것이며, 법화경28품(品) 내용을 기의(記意)로 삼고 있는 기표(記標) 현상물에 해당한다. 운주사현장은 ‘법화도량’이었으며, 또한 그 시기의 몽골침입에 대항하는 수단으로서 ‘호국호왕 도량’을 겸비하였다. 화순 운주사현장의 ‘석조불감’이 ‘법화경 제11품 견보탑품’에 등장하는 ‘다보탑(多寶塔)’에 해당한다는 사정을 뒷받침하는 문헌적 근거로는 <호산록>에 수록된 ‘갑진년 다보탑 경찬소’가 있다.

영문 초록

– The historical origin of Unjusa Temple in Hwasun was unknown. Various opinions have been suggested regarding the historical disappearance of Unjusa Temple, but none of them explained the history of Unjusa Temple and subject of its foundation. Accordingly, this thesis paid attention to the multi-tower phenomenon at Unjusa Temple site, examined the background of its religious appearance, and reviewed the possibility of creating the Unjusa Temple site by the Baeknyeongyeolsa, which was active during the military regime of Choi clan and the invasion of Mongolia in the 13th century of Goryeo. The sculptures at the Unjusa Temple site were clearly intentional and based on consistent ideas, and corresponded to ‘signifier’ that indicates 28 pum of the Buddhist Sutras as a ‘signified’. The site of Unjusa Temple was “Bokhwa(The Lotus Sutra) Doryang,” and it also served as “Hogukhowang Doryang” as a means to counter the invasion of Mongolia during that period. The “Gabjinnyeon(1244) Dabotap Gyeongchanso(Praise)” included in “Hosanrok” is a literary basis that supports the situation that the “stone room” at the site of Unjusa Temple in Hwasun corresponds to the “Dabo-tower” that appears in the “Bokhwagyeong Gyeonbotappum.

목차

Ⅰ. 운주사 실상(實相)을 찾아서
Ⅱ. 운주사현장 출현의 사상적 배경: 탑(塔), 다탑(多塔)이란 무엇인가?
Ⅲ. 백련결사 행법도량(行法道場)의 등장 – 실천행 현장5)
Ⅳ. 백련결사의 ‘시, 공간’과 ‘인물’의 상관성 – 호산록(湖山錄)
Ⅴ. 운주사현장과 <법화경 28품>의 현상적 구현
Ⅵ. <법화경 28품> 품경(品景)과 운주사 풍경(風景)의 일치
Ⅶ. ‘법화도량 행법도량’과 ‘호불호왕 도량’의 중첩: 운주사현장 도량서클(circle)의 이중적 성격
Ⅷ. 역사와 설화의 분리, 오래된 미래의 확인
Ⅸ. 맺음말 - 오래된 미래의 확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형상. (2022).화순 운주사현장의 등장배경과 법화경 28품. 종교문화학보, 19 (2), 125-171

MLA

박형상. "화순 운주사현장의 등장배경과 법화경 28품." 종교문화학보, 19.2(2022): 125-1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