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ZMET으로 분석한 외식공간으로서의 편의점 장소성 형성 요인

이용수 17

영문명
Placeness Factor of Convenience Store as Dining Space by ZMET Analysis
발행기관
한국관광학회
저자명
노연아 한경수
간행물 정보
『관광학연구』제44권 제6호, 33~5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관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주력 상품의 변화에 따라 편의점 영역과 기능이 확대된 융․복합형 편의점에 주목하였다. 간편식, 베이커리, 디저트, 커피 등으로의 주력상품 변화는 편의점 공간도 외식공간으로 영역이 확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연구 목적은 편의점 공간을 맥락적 의미가 담긴 외식 공간으로서 장소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 고찰과 소비자 내적 요구를 파악할 수 있는 정성적 조사 기법을 바탕으로 편의점 장소성 형성요인을 도출하고 편의점 영역의 변화에 따른 편의점 장소성 형성 요인 구성개념을 항목과 내용으로 유목화하였다. 또한 공유개념도를 통하여 소비자가 편의점 공간에서 최종적으로 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였다. 외식공간으로서의 소비자 편의점 공간 인식 분석을 위해 정성적 조사기법인 ZMET을 설계하였으며 통계자료에 따라 편의점 이용고객 25세에서 35세의 12인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편의점 장소성 형성 요인은 물리적, 활동적, 개인적 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물리적 요인의 항목별 속성은 융․복합형 편의점의 실내․외 환경으로 접근성, 공간성, 주변성, 쾌적성이다. 활동적 요인은 편의점 내 서비스 행태와 이용자의 활동으로 신속성, 목적성, 상호작용, 편의성이며 개인적 요인은 지속된 경험과 반복으로 나타난 개인의 의미로 만족감, 다양성, 차별성이다. 또한 소비자들의 편의점 공간 공유개념도의 최종 개념은 시간, 서비스, 공간 등의 모든 편의성을 갖춘 부담 없이 방문할 수 있는 휴식공간으로 판명되었다. 본 결과로 편의점 장소화를 위한 구성개념을 구체화할 수 있는 이론적 시사점을 확인하였고 편의점 가치와 서비스 영역 확대에 따른 소비자 인식을 파악할 수 있었다. 향후 편의점을 유통판매 공간으로뿐만 아니라 외식 공간으로 논의하기 위한 실무적 연구 방향 및 이 연구의 한계점을 결론에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Convenience stores (CVSs) are embracing convergence for their business areas as the product mix changes. They have started to offer a dining experience since their sales are led by home meal replacement, baked goods, coffee and desser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ense of place for a CVS as a contextually meaningful dining space. Factors were identifi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understand internal consumer demands. The component concept was classified regarding how a CVS develops placeness in line with the changing business areas. What consumers demand at a CVS is described in the consensus map. ZMET was applied to analyze the consumer recognitio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elve CVS customers aged 25 – 35 years. The analysis showed that physical, active, and individual factors are involved to develop CVS placeness. Next, features of a physical factor are categorized into accessibility, spatiality, marginality and amenity of CVS environments. An active factor with regard to the service behaviors and user activities includes promptness, purposefulness, interaction and convenience, while individuals experience satisfaction, diversity or differentiation after repetitive and/or continuing visits. In the consensus map, a CVS is conceptualized as a highly accessible lounge in terms of time, service and space. These findings suggest theoretical implications to help identify the component concept of a CVS with placeness, and provide insight into how consumers recognize the changing values and increasing number of services of a CV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연아,한경수. (2020).ZMET으로 분석한 외식공간으로서의 편의점 장소성 형성 요인. 관광학연구, 44 (6), 33-53

MLA

노연아,한경수. "ZMET으로 분석한 외식공간으로서의 편의점 장소성 형성 요인." 관광학연구, 44.6(2020): 33-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