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총수익스왑(TRS)에 대한 과세체계 정비 방안
이용수 375
- 영문명
- Improvement of the Taxation System for Total Return Swap (TRS)
- 발행기관
- 한국세무학회
- 저자명
- 손혁 최보광 정재경
- 간행물 정보
- 『세무와회계저널』제23권 제5호, 293~31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회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자본시장이 고도화되면서 파생상품의 일종인 총수익스왑(TRS) 계약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연구는 TRS 계약에 대한 사례를 바탕으로 세무상 쟁점과 해결책을 제시한다. TRS는 신용위험과가치변동위험을 이전하는 파생상품의 일종으로 사업결합, 의결권 행사, 신용보강, 자산유동화 등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TRS는 기초자산의 법적 소유자와 자산의 실질을 누리는 자의 디커플링을 발생시켜 자산취득에 대한 취득세 과세여부 및 자산에서 발생한 손익에 대한 과세주체의판정, 업무무관비용 및 부당행위계산의 부인 등 다양한 세무상 쟁점이 발생한다. 이처럼 복잡한 세부 계약과 새로운 파생상품이 출현하는 상황에서 새로운 기존 세법으로는 TRS와 같은 새로운 파생상품에 대해 소득을 과세하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TRS를 비롯한 파생상품에 대해과세당국은 현재 실질과세의 원칙을 적용하고 있으나 납세자와 과세당국 간 의견의 차이로 조세쟁송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파생상품에 대한 포괄주의 도입 및 소득구분에 있어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TRS와 같은 파생상품에 대한 과세체계를 정비하여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조세쟁송 등을 줄이고 관련 조세비용을 완화할 수 있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With the advancement of the capital market, a total return swap (TRS) contract, a type of derivative, has been widely used in recent years. This study presents tax issues based on the case of Hyundai Elevator for the TRS contract. TRS is a type of derivative product that transfers credit risk and risk of change in value and is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business combination, exercise of voting rights, credit enhancement, and asset securitization. TRS causes decoupling between the legal owner of the underlying asset and the person who gets the substance of the asset, and in the context of complex detailed contracts and the emergence of new products, it is impossible to tax according to existing tax law. However, tax disputes have arisen due to differences of opinion between the taxpayer and the tax authorities. The main issues of TRS include various issues such as whether the acquisition tax is taxed on the acquisition of assets, the judgment of the taxable entity on the gains and losses generated from the assets, and the denial of the calculation of unrelated expenses and unfair practices. This study aims to reduce tax disputes that can arise in the future and alleviate related tax costs by reorganizing the taxation system for derivatives such as TRS by presenting clear guidelines for the introduction of inclusiveism and income classification for derivativ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Ⅲ. TRS의 세무상 쟁점
Ⅳ. TRS 관련 세무상 쟁점 사례
Ⅴ. TRS 관련 세무상 제언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개인연금 활성화를 위한 세제 지원 방안
- 개발 중인 연구개발비 정보가 자본화된 연구개발비의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
- 지방세법상 탄력세율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ESG, 경영전략과 조세회피
- 총수익스왑(TRS)에 대한 과세체계 정비 방안
- 사회복지 수급실적 및 무상이전소득이 조세 및 복지제도에 대한 납세자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수준과 재무제표 비교가능성
- 감사인의 직급별 감사계획이 감사시간과 감사보수에 미치는 영향
- 세대 구분에 따른 과세제도와 주민등록법제와의 상충관계에 대한 연구
- 사회적기업의 사회성과인센티브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회계분야 특성화고-전문대학-대학 연계교육운영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회계학분야 NEW
- 조직의 신뢰관계가 몰입과 만족도를 매개하여 역량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 무형식 학습을 매개하여 기업의 맥락적 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ESG경영이 기업평판, 기업지지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