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교 국악 교육 현황 분석을 통한 발전 방안 연구

이용수 95

영문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through Analysis of the Status of the Middle School Gugak Education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이주호(Lee Jooho)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46집, 131~15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0.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국악은 우리 고유 음악과 외래 음악이 오랜 역사를 통해 접촉해 오면서 창의적 발전을 이뤄 온 위대한 유산이다. 그러나 국악은 학교 교육에서 소외되어왔고 교육과정의 개정을 거치면서 차츰 비중이 높아졌다. 이에 본 연구는 강남구소재 10개 중학교의 국악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여 실제로 학교 현장에서도 국악 교육이 확대되고 있는지 파악하고 발전방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10개 중학교의 음악 수업을 분석한 결과 국악 시수는 3년간 평균 24.7시간으로 음악 수업 중 19.7%를 차지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양 음악 시수에 비해 상당히 적은 수치로 교육과정이나 교과서의 비중에도 훨씬 미치지 못하고있었다. 국악 비중의 분포는 8.4%~31.8%였고, 학교별로 편차도 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집중이수제는 8개 학교가실시하고 있었으며, 영역별 분포는 감상 41.9%, 기악 32%, 가창 19.6%, 생활화 5.8%, 창작 0.6%로 전 영역을 골고루 편성한 학교는 1개교에 불과했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가창과 관악기 연주 수업은 줄어든 반면 상대적으로 감상수업이 증가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국악이 생활 속 음악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교육과정에서제시한 국악 내용을 최대한 반영시키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재교육 제도 마련,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지원을 통한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 음악 수업의 연속성을 위한 집중이수제 지양, 다변화하는 사회의 음악적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음악 교과 전체의 시수 확대를 위한 노력, 미래 사회를 예측하고 대비하는 적극적인 노력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영문 초록

Gugak (Korean traditional music) is a great legacy of the Korean people, which has developed creatively through the long history of contacting with foreign music. However, it has been neglected in school education, and its importance has gradually increased through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This study intends to figure out whether gugak education is actually expanding in the school field and to study development plans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gugak education in 10 middle schools located in Gangnam-gu, Seou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gugak class hours in the 10 middle schools for three years, they are 24.7 hours on average, or 19.7% of the entire music class hours, which are considerably lower than the number of Western music class and far below the proportion of curriculum or textbooks. The distribution of the proportion of gugak class hours is 8.4% ~ 31.8%, which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eviation by school. The intensive completion system is implemented by 8 schools, and the distribution by area is 41.9% for appreciation, 32% for instrumental music, 19.6% for singing, 5.8% for daily life, and 0.6% for creative writing. There is only one school that organizes all areas evenly. Moreover, due to the COVID-19, the vocal and wind instrument performance classes have decreased while the appreciation classes have increased relatively, for which alternatives are required.…

목차

Ⅰ. 서론
Ⅱ. 중학교 국악 교육의 현황 분석
Ⅲ. 중학교 국악 교육의 발전 방안 제언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주호(Lee Jooho). (2022).중학교 국악 교육 현황 분석을 통한 발전 방안 연구. 국악원논문집, 46 (), 131-154

MLA

이주호(Lee Jooho). "중학교 국악 교육 현황 분석을 통한 발전 방안 연구." 국악원논문집, (2022): 131-1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