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방정부의 공간정보화 수준 측정을 위한 주요 지표의 중요도 평가

이용수 42

영문명
An Evaluation of the Importance of Major Indicators for Measuring the Level of Spatial Informatization in Local Governments
발행기관
한국전자통신학회
저자명
김연성 서원찬 윤홍주
간행물 정보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제17권 제5호, 985~994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공학 > 전자/정보통신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0.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기를 맞이하여 지방정부의 공간정보 정책의 성숙도를 진단하였다. 이를 위하여 계층화(AHP)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공간정보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공간정보화 수준 측정 지표들의 선정과 함께 중요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먼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지방정부 공간정보 정책 측면에서의 현황 및 지표들을 연구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를 검토함으로써 본 연구와의 차별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개 지표와 18개의 세부항목의 공간정보화 수준 평가 지표들을 선정할 수 있었다. 평가 결과, 측정 지표에 대한 종합 중요도 순위는 자체 공간정보시스템 구축·활용 0.125(12.5%), 기본공간정보 품질 관리 0.109(10.9%), 자체 공간정보 구축·활용 0.107(10.7%), 기관 내부의 협업과 공유 0.073(7.3%), 공간정보 교육지원체계 운영 0.071(7.1%), 전담조직 및 전문 인력 0.065(6.5%), 기관 차원의 관심도 0.053(5.3%) 순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방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공간정보 정책의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지표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의 공간정보 정책을 추진한다면, 효율적인 정책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iagnoses the maturity level of local government's spatial information policy in the face of the digital transformation period. To this end, by using the stratification (AHP) analysis technique, for the spatial information expert group, the importance evaluation is performed along with the selection of measurement indicators of the level of spatial informatization. First, the current status and indicators in terms of spatial information policies of local governments are studi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In addition, by examining previous studies, differentiation from this study is presented. In this study, 3 indicators and 18 detailed items of spatial informatization level evaluation indicators could be selected.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the overall importance ranking for the measurement index was 0.125 (12.5%) for the establishment and utilizations of GIS Systems provided by local governments, 0.109 (10.9%) for the quality management of basic spatial information, 0.107 (10.7%) for the establishment and utilization of its own spatial information. 0.073 (7.3%) for the collaboration and sharing within the institution, 0.071 (7.1%) for the operation of education and support system on spatial information, 0.065 (6.5%) for the securing a dedicated organization and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and interest at the institutional level were derived in the order of 0.053 (5.3%).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ly utilized as basic data to evaluate the level of spatial information policies promoted by local governments. In addition, if the local government's spatial information policy is pursued centering on the major indicators derived from the study, it is expected that efficient policy operation will be possible.

목차

Ⅰ. 서론
Ⅱ. 평가 지표 연구 및 분석
Ⅲ. 분석 결과
Ⅳ.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연성,서원찬,윤홍주. (2022).지방정부의 공간정보화 수준 측정을 위한 주요 지표의 중요도 평가.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17 (5), 985-994

MLA

김연성,서원찬,윤홍주. "지방정부의 공간정보화 수준 측정을 위한 주요 지표의 중요도 평가."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17.5(2022): 985-9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