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행정절차법과 행정기본법의 관계 재정립

이용수 272

영문명
Re-establish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and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in Korea
발행기관
한국행정법학회
저자명
정남철
간행물 정보
『행정법학』제23호, 73~10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22년 1월 11일 개정된 행정절차법에는 확약, 위반사실 등의 공표 및 행정계획 등에 관한 실체적 규정이 새로이 도입되었다. 행정기본법과 행정절차법에는 신뢰보호의 원칙, 신고 등에 관한 중복규율이 있다. 또한 행정기본법에는 재량행사의 기준으로 행정계획의 형량명령과 혼동한 규정을 두고 있다. 이처럼 행정기본법과 행정절차법에는 중복규율이나 유사규정으로 인해 그 해석 및 적용에 어려움을 던져 주고 있다. 오늘날 절차법은 실체법에 조력제공의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민주적 정당성의 확보와 사전적 권리구제, 행정의 효율성 제고 등과 같은 독자적 기능을 가진다. 절차법과 실체법은 완전히 단절된 것이 아니라 유기적으로 상호보완적 작용을 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행정기본법과 행정절차법은 상호보완적이어야 하며, 장기적으로는 양자는 통합되어야 한다. 통합이 실현되기 전까지 행정기본법과 행정절차법 사이에 모순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각 법률의 완결성을 높이도록 부분적인 개정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첫째, 행정절차법에는 ‘절차원칙’에 관한 규율을 마련하고, 행정법의 일반원칙에 관한 규정은 행정기본법에서 통일적으로 정비되어야 한다. 행정기본법의 성실의무에 관한 규정은 모호하므로 이를 삭제하고, 평등원칙은 행정의 자기구속과 관련하여 규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신고제도는 행정기본법과 행정절차법에서 이원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신고제도는 행정절차법에서 통일적으로 규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고제도의 본연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실체적 심사권은 유보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신고의 효력이 발생하기 전에 유예기간(숙려기간)을 마련해야 한다. 이러한 기간에 법령을 위반한 신고에 대해서는 행정청이 중지나 금지 등을 할 수 있는 규정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행정기본법 제21조의 재량행사의 기준에 관한 내용은 부정확하고 법리적으로도 타당하지 않다. 재량행위는 형량명령과 관계가 없다. 행정기본법 제21조는 정당한 형량이 아니라 재량권이 수권(授權)의 목적에 적합하게 행사되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규정해야 한다. 행정기본법에 자동적 처분을 도입하였지만, 그 절차규정은 전혀 고려되지 않다. 이와 관련하여 행정절차법에서 자동적 처분과 관련된 절차규정을 정비해야 한다. 행정기본법의 제정은 한국행정법의 역사에 있어서 새로운 도전이다. 이 법률을 유용하게 하기 위해서는 행정절차법과의 조화가 필요하며, 장기적으로 양 법률은 통합되어야 한다. 이러한 통합행정법전의 제정을 위해 앞으로 학계와 행정실무의 진취적인 자세와 대응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In the Korean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amended on January 11, 2022, substantive provision on public commitments (Zusicherung), disclosure of violations, and administrative plans were newly introduced. The Korean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and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have overlapping provisions such as the principle of trust protection and reporting. In addition, the Korean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has regulations that are confused with the principle of balancing in administrative plan as a criterion for exercising administrative discretion. As such,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and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pose difficulties in their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due to overlapping or similar regulations. Today, the procedural law not only performs a function of contributing to the substantive law, but also has independent functions such as securing democratic legitimacy and prior remedies, as well as enhancing administrative efficiency. Procedural law and substantive law are not separated completely, but complement each other organically. In that respect, the Korean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and the Korean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should be complementary, and in the long run, they should be integrated. Until the integration is realized, it is necessary to prevent a contradiction between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and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and to make partial amendments to enhance the completeness of each Act. First, in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some provisions on ‘procedural principles’ should be prepared, and provisions on general principles of Administrative Act should be unified in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Since the provisions on the duty of faithfulness in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are ambiguous, it is desirable to delete them and to regulate the principle of equality in relation to the so-called self-binding of the administration (Selbstbindung der Verwaltung). Second, the reporting system is stipulated in two ways in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and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In my personal opinion it is desirable to uniformly regulate the reporting system in the Korean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Considering the intrinsic function of the reporting system, the right to substantive review should be reserved. For this, the period of consideration must be established before the report becomes effective. In case of reporting violations of laws and regulations during this period, regulations should be prepared for the administrative agency to suspend or ban. Third, the content regarding the criteria for exercise of discretion in Article 21 of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is inaccurate and also not legally justified. Discretionary action has nothing to do with the principle of balancing. Article 21 of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should make it clear that discretion, not just balancing, should be exercised appropriately for the purpose of the given authority. Although automatic disposition was introduced in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the procedural regulations are not considered at all. In this regard, the Korean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should revise the rules of procedure related to automatic disposition. The enactment of the Korean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is a new challenge in the history of Korean administrative law. To make this Act more useful, I think that it needs to be harmonized with the Korean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and in the long run, both laws should be integrated. For the enactment of such an so-called “integrated administrative code”, a forward-looking attitude and response from academia and administrative practice are needed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 중복규율의 혼선과 경합
Ⅱ. 실체법과 절차법의 관계 – 기능적 관점
Ⅲ. 주요쟁점
Ⅳ. 개선방안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남철. (2022).행정절차법과 행정기본법의 관계 재정립. 행정법학, (), 73-100

MLA

정남철. "행정절차법과 행정기본법의 관계 재정립." 행정법학, (2022): 73-1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