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기 노인(65-74세)의 장래돌봄기대유형 비교

이용수 79

영문명
Typology of Future Care Expectations Among the Young-Old in Korea: A Comparison Between 2010 and 2020 KLoSA Data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차승은 강유진 김경민 이서연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34집 3호, 102~134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인들이 향후 돌봄이 필요한 상황이 되었을 때 누구로부터 돌봄을 받을 것을 예상하는지, 이러한 예상과 기대는 노인의 어떠한 욕구를 반영하는지 알아보고 노인들의 포괄적 돌봄 욕구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의 3차(2010년)와 8차(2020년) 자료 중 각년 별로 초기 노인(65-74세)에 속하는 1936-45년 출생코호트(1,793명)와 1946-55년 출생코호트(2,07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장래돌봄기대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 LCA)을, 유형별 특성을 기술하기 위해 로짓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코호트별로 노인의 장래돌봄기대유형의 내용과 분포에 차이가 있었고, 유형별 특성에도 차이가 있었다. 1936-45년 출생코호트(2010년 조사)에 비해 1946-55년 출생코호트(2020년 조사)의 초기 노인들은 공식적인 돌봄 서비스에 대한 기대 비중이 높았고 가족 돌봄에 대한 기대는 다소 약화하였다. 또한, 1946-55년 출생코호트(2020년)에서 새롭게 등장한 딸중심형은 노인 돌봄이 기존의 유교적 가치관이 약화되고 그에 비해 돌봄제공자 기대면에서는 편의성과 친밀성을 중시하는 경향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아울러 두 개 코호트 모두에서 돌볼 사람이 아무도 없다고 응답한 돌봄공백형의 비중이 일정한 비율로 유지된 점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노인 돌봄의 문제를 돌봄 당사자의 관점에서 선제적으로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노인 돌봄에 대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future care expectations of older adults by examining whom they expect to receive care from when they need care (e.g., spouse, children, formal and paid providers), and whether these expectations reflect values and needs of older adults. We utilized data from the 3rd (2010) and 8th (2020) wave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which included two birth cohorts of the young-old population (aged 65-74); born 1936-45 (N=1,793; surveyed in 2010) and born 1946-55 (N=2,073; surveyed in 2020). Latent Class Analysis (LCA)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latent classes of expected future care providers among Korean older adults and examine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he derived classes. Five latent classes were identified in 2010 (spouse-focused, family-centered, child-centered, formal help, and none) and in 2020 (spouse-focused, family-centered, daughter-centered, formal help, and none), respectively. The expectation for formal care services increased while the expectation for family care decreased between 2010 and 2020, which may reflect the impact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ince it was introduced in 2008. In addition, the daughter-centered class emerged in 2020 suggested diverging care expectations towards convenience and intimacy rather than the traditional Confucian values based on son-preferences. However, 12% and 13% of older adults identified none as their future care provider in 2010 and 2020, respectively.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older adults‘ perspectives in making future care arrangem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practical and policy measures for the care of older adults in the future were discussed.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선행연구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차승은,강유진,김경민,이서연. (2022).초기 노인(65-74세)의 장래돌봄기대유형 비교. 가족과 문화, 34 (3), 102-134

MLA

차승은,강유진,김경민,이서연. "초기 노인(65-74세)의 장래돌봄기대유형 비교." 가족과 문화, 34.3(2022): 102-1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