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강릉단오제를 통한 우리 민속 문화의 정서

이용수 25

영문명
The emotion of our folk culture through Gangneung Dano Festival: communication through exorcism
발행기관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저자명
김용훈
간행물 정보
『종교문화학보』제8권, 207~257쪽, 전체 5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5.31
8,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수릿날, 천중절이라고 부르는 단오는 일 년 중에서 가장 양기가 왕성한 날이라 해서 예로부터 큰 명절로 여겨져 왔다. 창포로 머리 감기, 더위를 쫒는 부채 만들기 등으로 지역행사를 통해 세시풍속을 이어가고 있지만 규모와 내용면에서 많이 축소되고 행사를 위한 행사로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에 강릉 단오굿은 세습무녀들에 의해 진행되고 유명한 무녀들과 악사들의 무속음악으로 전통성을 잘 유지하고 있어서 민속적 가치가 크다. 본 논문은 한국 역사의 시작과 함께 한 무속신앙이 강릉단오제를 통해 전통적으로 구현되고 있는 모습에서 우리 민속신앙의 역사와 유래 그리고 민속신앙의 정수 굿과 굿의 진행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인 무당에 대하여 문헌자료와 연구논문을 고찰하였다. 역사 속에서 무가 지니는 의미와 형태 및 무속인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우리민족의 근원종교를 분석하고, 강릉단오제 속에서 전통적 모습으로 형태가 전승되고 있는 무형문화, 민속신앙의 중요성 및 형태의 보존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Dano called Surinnal, Cheonjungjeol, has been deemed to be a big festival from ancient times as the day most full of energy during the year. People relay the seasonal customs through the local events like washing the hair with the water infused with sweet flags, making fans to turn out heat but the customs have much shrunk in the respect of their size and content, now remaining an event for the sake of the event. On the contrary, Kangneung Dano Exorcism is performed by hereditary female shamans maintaining the tradition with a shaman music of famous female shamans and musicians, which has a high folk value.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history and origin of our folk faith, the exorcism, the essence of the folk faith and a female shaman, the being indispensible in the proceedings of the exorcism through the literature data and theses in the shapes where the shaman faith is embodied traditionally through Gangneung Dano Festival together with the commencement of Korean history. We attempted to analyze the original religion of our nation through the detailed analysis on the meaning and forms of shamanism and exorcists in the history and suggest the plan to preserve the intangible culture where the forms have been handed down with the traditional shapes through Gangneung Dano Festival, the importance of the folk faith and its forms.

목차

Ⅰ. 서론
Ⅱ. 무속신앙의 개념 및 무속신앙의 역사
Ⅲ. 무의 개념과 무당
Ⅳ. 무당의 기능과 활동
Ⅴ. 신도 및 무의 형태
Ⅵ. 무속신앙의 세계관과 무의 의미
Ⅶ. 전통 문형문화보존 및 활성화 방안
Ⅷ.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용훈. (2011).강릉단오제를 통한 우리 민속 문화의 정서. 종교문화학보, (), 207-257

MLA

김용훈. "강릉단오제를 통한 우리 민속 문화의 정서." 종교문화학보, (2011): 207-2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