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보편언어로서 효에 대한 기독교 관점의 이해

이용수 2

영문명
The Understanding of Hyo as a universal language on Christianity View
발행기관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저자명
류한근
간행물 정보
『종교문화학보』제7권, 77~120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1.30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효는 보편언어가 될 수 있는가? 부모와 자녀 관계는 인류가 유지하고 있는 보편적 관계 패턴임에 분명하지만, 효는 상당히 문화적 요소를 담고 있다. 현재 한국인의 의식 속에 효는 시대적 반영이 겹쳐져 혼재하고 있는 혼돈 상태의 언어이다. 기독교 관점에서 효를 보려는 것은 문화적 특수성을 인정하되 새로운 보편적 언어로 재인식하고자 하는 것이다. 기독교 관점에서 효의 보편적 성격은 이른바 효 하는 자가 복을 받는다는 효복사상이다. 본 논문은 효와 복의 연관성에 주목하였으며 특히 기독교 관점에서 복을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성에서 찾았다. 기독교의 효복사상은 하나님-인간 그리고 부모-자녀의 거시적 미시적 메타포를 이용한 것으로서 신앙과 윤리의 검증 강화 방법이다. 복은, 효를 통해 성부 하나님과 새로운 인식망을 구성하는 것이며 깊은 관계성에서 발생되는 가치들이다. 효는 자녀의 적극성이 요구되는 하나의 체계이다. 효를 하고자 하는 자녀의 적극성은 효의 미시체계와 거시체계를 연관하여 이해하게 된다. 효의 미시체계는 삶의 해석을 통해 부모를 이해하며 부모의 삶에 참여하는 인식과 행동의 복합체이다. 효의 거시체계는 효복사상의 설계자인 하나님의 의도와 계획을 이해하는 인식망이다. 이 거시체계와 미시체계의 연결고리로서 신뢰, 대화, 동반적 변화, 정체성이 구체화하게 된다. 결국 효의 보편성은 연계변수를 통해 효의 구체적 행위와 지향성 속에서 도출될 수 있다.

영문 초록

Can it be that hyo becomes an universal language? Parents-child relationship must be an universal relation pattern to be maintained by mankind although it could be contained a strong cultural effects of hyo. Currently hyo is a language of complex state which is overlapped to a reflections of the various times in Korean consciousness. Basically, the meaning of hyo on the view of Christianity may be help to reconstruct a concept of hyo as a new universal language based on the recognition of cultural particularity. The universality of hyo in a view of Christianity is a 'Hyo-gift-thought', namely the child of hyo could be given gifts. So in this treatise the focus is a connection of hyo and gift, especially the gift based on Christianity could be found the relationship of God the Father and man the child. Christian Hyo-gift-thought is the method of test and reinforce between religion and ethics which is used the macro and micro metaphor of relationship of God-man and parents-child. The gift is interpreted into a new recognition network for the intimacy of God by hyo, and emerged values in deep relationship. Hyo is a system to be demanded for the child's positivity. The positivity of child who makes mind of hyo could enlarge the perspective of connection with macro and micro system. The micro system of hyo is the complexity of perception and action which can make to understand parents through a life interpretation and to participate the whole life of parents. The macro system of hyo is the recognition network to understand a intention and plan of God, the designer of Hyo-gift-thought. Having the connectivity with macro and micro we can discover the trust, dialogue, co-change and identity which are the process of hyo. Therefore the universality of hyo can be deduced to the practical action and directivity through the intermediation variables.

목차

Ⅰ. 서론
Ⅱ. 효의 이해와 인식망
Ⅲ. 효 활성화를 위한 자녀의 적극성
Ⅳ. 효의 미시체계와 거시체계의 연관성 ―효복사상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류한근. (2010).보편언어로서 효에 대한 기독교 관점의 이해. 종교문화학보, (), 77-120

MLA

류한근. "보편언어로서 효에 대한 기독교 관점의 이해." 종교문화학보, (2010): 77-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